‘박경리 문학상’ 이스마일 카다레 방한
이스마일 카다레 작가.
뉴스1
뉴스1
알바니아 출신 작가 이스마일 카다레(83)는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오스트리아 작가 페터 한트케(77)를 둘러싼 논란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한트케는 알바니아계 ‘인종 청소’로 악명이 높았던 전 세르비아 지도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1941~2006)를 옹호한 전력으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2019 박경리문학상 수상자 카다레는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트케와는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지만 작가로서 그를 옹호한다는 건 알바니아뿐 아니라 동유럽에 속한 발칸반도 사람들이 가져서는 안 되는 태도”라고 일갈했다.
“그의 조국보다 유명하다”는 평을 얻는 카다레는 외세 지배, 스탈린식 공산독재를 겪으며 유럽에서조차 소외된 나라 알바니아를 대표하는 ‘문학 대사’다. 1963년 첫 소설 ‘죽은 군대의 장군’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지만 서슬 퍼런 공산 정권하에서 작품이 출간 금지되는 등 수난을 겪었다. 1992년 프랑스로 망명해 파리에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45개 언어로 번역 출간됐다. 2005년 제1회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2016년에는 프랑스 훈장 레지옹 도뇌르를 받았다.
그는 발칸반도에 전해 내려오는 신화와 전설을 차용, 특유의 풍자와 유머로 기괴한 웃음을 만들어낸다. 그에게 풍자는 “공산주의 정권 아래 있던 모든 동료 작가들이 권력의 억압에 대항해 표현, 묘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다 도달한 지점”이었다.
2000년에 이어 두 번째로 방한한 카다레는 “알바니아에서 한국 문화는 물론이고, 문학의 지위도 향상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알바니아가 세계 최고의 공산주의 국가라 했는데 그건 유럽에서이고, 북한 상황은 알바니아에도 잘 알려져 있다”며 “낙원, 천국이라는 개념을 자주 말하고 사용하지만 현실에선 존재하지 않는 (북한 같은) 국가에서 문학이 그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10-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