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시 엮은 ‘나는 장난감…’ 등 내년 탄생 110년 앞두고 재조명
시인 이상
박 시인은 “이상의 시는 객체화든 객관화든 타자화든 간에 근대적 주체의 인식과 파기”라며 “1933년 이날의 다짐은 그동안 일본어로 써서 발표한 시와의 이별일 수 있다”고 봤다. 이 외에도 그동안은 산문으로 치부됐던 ‘산책의 가을’, ‘실낙원’, ‘최저낙원’ 세 편을 시의 영역으로 끌어올려 눈길을 끈다.
문학평론가 권영민(71) 서울대 명예교수가 펴낸 ‘이상 연구’(민음사)는 인간 이상에서 작가 이상, 텍스트에서 그림에 이르기까지 이상에 관한 거의 모든 자료를 집대성했다. 절판된 ‘이상 텍스트 연구’를 수정, 새롭게 밝혀진 사실들을 보완해 ‘비평적 전기’의 면모를 보여 준다. “이상은 자신의 문학 속에서 언어의 한계에 도전하면서, 자신의 상상력과 특이한 정서를 구체화하기 위해 언어의 모든 가능성을 동원한다.” 오랜 세월 이상을 연구해 온 권 명예교수의 결론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10-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