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언니에게/최진영 지음/창비/252쪽/1만 4000원
‘끔찍한 오늘을 찢어버리고 싶다’로 시작하는 일기가 있다. ‘끔찍한’이라는 단어조차 찢어버리겠다는 듯, 그 단어에는 가로선이 그어져 있다. ‘끔찍한’이라는 말에도 가둘 수 없는 오늘을 살아낸 이는 어떤 사람일까. 어떤 상황에 처한 사람일까.
소설 ‘이제야 언니에게’는 성폭력 피해자 제야의 이야기다. 2008년 7월 14일. 학교 수업을 마치고 제야는 동생들과 아지트로 삼은 버려진 컨테이너로 간다. 동생 제니와 사촌동생 승호를 기다리던 제야는 뜻밖에 같은 동네에 살면서 늘 다정하고 친절하던 당숙을 맞닥뜨린다. 거기서 돌변한 당숙은 제야를 성폭행한다. 당숙이 나 자신에게, 제니에게 똑같은 일을 다시 저지를 것이라는 공포에 제야는 경찰서로 직진한다. 그러나 아빠와 큰아빠가 관련된 회사 이사장인 당숙의 영향력 아래, 당숙과 이런 일이 커지면 여자애만 손해라는 논리 아래, 합의되지 않은 ‘합의서’가 만들어진다.
소설은 1인칭 제야 시점과 3인칭, 끔찍한 그날과 그날 이전의 날과 그날로부터 격리될 수 없는 이후의 날을 넘나든다. 그날 이후 제야를 부단히도 괴롭힌 질문 중 하나. ‘담배 피워도 되냐’고 사려 깊게 묻던 당숙과 내 머리를 짓누르던 당숙, 살갑게 등굣길을 살피던 당숙과 나를 강간하던 당숙은 같은 사람인가 하는 것이다. 고통 끝 ‘나’가 내린 결론은, 그는 ‘괴물도 짐승도 악마도 아닌 사람이어서 나를 강간’했으며, ‘그는 나를 이해하려고 애쓰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더불어 제야는 피해자인데도, ‘내가 그날 ~하지 않았다면’이라는 질문에 지속적으로 시달려야만 했다. 생각을 하면 할수록 명료한 사실은 단 하나뿐인데 말이다. ‘그날 그 일이 없었다면 나는 분명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고 있을 것이다. 그날 그 일이 없었어도 그는 분명 지금과 같은 삶을 살고 있을 것이다.’(207쪽)
당숙 같은 가해자가, 제야 같은 피해자가 나오는 까닭은 비단 당숙만의 문제인가, 모두의 문제인가. 별안간 소설은 폐부를 찌른다.
“소중한 존재에 대해서는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말하는, 피붙이도 아닌 제야의 ‘강릉 이모’ 같은 이가 되고 싶어서, 적어도 부끄러움은 아는 인간이고 싶어서 우리는 이 소설을 읽는다. 창비가 이달부터 매달 한 권씩 선보이는 젊은 작가들의 경장편 시리즈 ‘소설Q’의 포문을 여는 책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소설 ‘이제야 언니에게’는 성폭력 피해자 제야의 이야기다. 2008년 7월 14일. 학교 수업을 마치고 제야는 동생들과 아지트로 삼은 버려진 컨테이너로 간다. 동생 제니와 사촌동생 승호를 기다리던 제야는 뜻밖에 같은 동네에 살면서 늘 다정하고 친절하던 당숙을 맞닥뜨린다. 거기서 돌변한 당숙은 제야를 성폭행한다. 당숙이 나 자신에게, 제니에게 똑같은 일을 다시 저지를 것이라는 공포에 제야는 경찰서로 직진한다. 그러나 아빠와 큰아빠가 관련된 회사 이사장인 당숙의 영향력 아래, 당숙과 이런 일이 커지면 여자애만 손해라는 논리 아래, 합의되지 않은 ‘합의서’가 만들어진다.
소설은 1인칭 제야 시점과 3인칭, 끔찍한 그날과 그날 이전의 날과 그날로부터 격리될 수 없는 이후의 날을 넘나든다. 그날 이후 제야를 부단히도 괴롭힌 질문 중 하나. ‘담배 피워도 되냐’고 사려 깊게 묻던 당숙과 내 머리를 짓누르던 당숙, 살갑게 등굣길을 살피던 당숙과 나를 강간하던 당숙은 같은 사람인가 하는 것이다. 고통 끝 ‘나’가 내린 결론은, 그는 ‘괴물도 짐승도 악마도 아닌 사람이어서 나를 강간’했으며, ‘그는 나를 이해하려고 애쓰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더불어 제야는 피해자인데도, ‘내가 그날 ~하지 않았다면’이라는 질문에 지속적으로 시달려야만 했다. 생각을 하면 할수록 명료한 사실은 단 하나뿐인데 말이다. ‘그날 그 일이 없었다면 나는 분명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고 있을 것이다. 그날 그 일이 없었어도 그는 분명 지금과 같은 삶을 살고 있을 것이다.’(207쪽)
당숙 같은 가해자가, 제야 같은 피해자가 나오는 까닭은 비단 당숙만의 문제인가, 모두의 문제인가. 별안간 소설은 폐부를 찌른다.
“소중한 존재에 대해서는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말하는, 피붙이도 아닌 제야의 ‘강릉 이모’ 같은 이가 되고 싶어서, 적어도 부끄러움은 아는 인간이고 싶어서 우리는 이 소설을 읽는다. 창비가 이달부터 매달 한 권씩 선보이는 젊은 작가들의 경장편 시리즈 ‘소설Q’의 포문을 여는 책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9-27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