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 떨어져 톡 터지는 은행 위로 검은 머리털이 흩날린다. 기자들에게 둘러싸여 머리를 미는 사람들의 표정은 다양하다.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참담한 표정을 짓기도 한다. 자고 일어나면 또 한 사람이 언론을 불러 머리를 민다. ‘삭발 챌린지’라도 하는 듯하다. 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를 외치는 대한민국 야당의 모습이다.
일본 공학박사이자 인기 소설가 모리 히로시는 현대 정치의 특성으로 ‘엔터테인먼트화’를 꼽는다. 본디 정치의 목적과 기능은 ‘사회를 좋은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지만, 지금의 정치는 대중의 인기를 끌기 위한 오락적 성격으로 변질됐다는 게 작가의 시각이다. 이런 배경에는 가치 있는 정보 전달이 아닌, ‘돈이 되는 감정’(시청률과 조회수) 전달에 빠진 언론이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작가는 이런 모든 상황을 ‘비관’한다. 비관하기 때문에 ‘머리 좋은 사람들도 많으니 언젠가는 개선될 것’이라는 낙관도 동시에 갖는다.
지금 자신의 성공은 매사 비관하는 태도에서 왔다고 강조하는 작가의 신간 ‘비관하는 힘’은 친절하지 않은 자기계발서다. 작가는 자신의 인생관을 압축해 담은 이 책에서 독자들에게 문제 해결 방법이나 성장하는 방법 등을 말하지 않는다. 그저 ‘성공하는 7가지 방법’ 같은 콘텐츠가 난무하는 ‘낙관 중독 사회’에 조금이나마 제동을 걸고자 6만엔(약 66만원)짜리 의자에 앉아 펜을 들었다. 박봉의 교수 시절 아르바이트로 글쓰기를 결심한 작가가 처음 한 일은, 아내의 반대에도 값비싼 의자를 산 일이다. ‘집에서 오래 앉아 글을 쓰면 엉덩이가 아플 것이다’라는 비관이 먼저 들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낸 소설로 일본 내 문학상을 받으며 1996년 화려하게 데뷔, 지금은 의자 가격의 몇백 배를 인세로 받고 있다.
“‘할 수 있다’, ‘불가능한 것은 없다’라고 아무리 주문처럼 외워 봤자 절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해야 할 일을 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자신감이란 99%의 노력으로 유지되는 마지막 1%에 불과하다. 이 점을 오해해서는 안 된다.” 작가가 말하는 비관하는 힘이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9-09-20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