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관련 뉴스가 온통 세상을 도배한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부풀리기만 하는 뉴스들 그 사이로,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인사청문회에서 한 국회의원이 쏟아낸 시대착오적 발언이 눈에 밟힌다. 그 의원은 미혼인 후보자를 향해 “지금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병폐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면서 “출산만 했으면 100점”이라고 스스로 묻고 답했다. 이 말 끝에 그는 “본인 출세도 좋지만, 국가 발전에도 기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주윤 작가는 저서 ‘제가 결혼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에서 대한민국 30대 여성이면 귀에 달고 다는 “시집가라”는 말의 의미를 진중하게 살핀다. 우선 딸 가진 아빠들에게 묵직한 한 방을 날린다. “아빠는 유통기한 삼십 년짜리 딸을 왜 낳았을까. (중략) 누군지도 모르는 남자에게 나를 보내버리려고 그렇게 애써 키웠을까. 서른이 넘었다는 이유만으로 평생 함께해야 할 사람을 갑자기 데려오라는 게 말이나 되는 일일까.” 명절이 되면 집안 어른들도 한소리씩 한다. 인생 잠깐이고, 사람 다 거기서 거기라고. “함께하고픈 사람을 아직 못 만났다”는 데도, 다 걱정해서 해주는 말이라며 막무가내다.
이 작가는 ‘노처녀 히스테리’라는 말 들을까 꼭꼭 감춰뒀던 이야기를 이제는 해야 한다고 말한다. “상대방이 언짢을까 봐, 그런 그가 우리를 헐뜯을까 봐, 결국에 나쁜 사람으로 낙인찍힐까 봐 두려워서” 하지 못했던 말들을 속 시원하게 하자는 게다. 단지 그들의 이야기가 더는 듣기 싫어서가 아니다. “세상을 좀 살아보니 남보다는 내가 더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저 스스로가 원하는 바를 확실하게 밝혀도 괜찮다는 걸 이 나이가 되어서야 깨달은 것이다. 그러니 자책할 필요 없다. 우리는 정말 잘살고 있으니까.” 등 떠밀려서 결혼할 이유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
이 글만 읽으면 책은 까칠한 글 모음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저자는 결혼하지 않은 모든 동지들(?)에게만큼은 따뜻함을 잃지 않는다. “결혼을 해서 남들처럼 살고 싶지만 결혼하고 싶었던 남자들이 나와 결혼을 하지 않았을 뿐”이라는 유머 섞인 말들도 그렇고, 한동안 사귄 혹은 앞으로 사귀게 될지 모르는 남자들에게 미리 사과문을 쓴 것도 미소를 머금게 한다. 결혼, 중요한 일이다. 출산율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다. 하지만 국가 발전 운운하며 누군가에게 결혼과 출산을 강요하는 일은 온당한 일은 아니다. “짚신도 짝이 있다”는 말은 이제 짚신에나 쓰면 될 말이다.
2019-09-06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