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석 평론가의 뉴스 품은 책] 수도권 대학마저 ‘지잡대’ 되는 현실… 학문은 경제가 아니다

[장동석 평론가의 뉴스 품은 책] 수도권 대학마저 ‘지잡대’ 되는 현실… 학문은 경제가 아니다

입력 2019-08-08 17:34
수정 2019-08-09 0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폐허의 대학/빌 레딩스 지음/윤지관·김영희 옮김/책과함께/368쪽/2만 2000원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 출산, 이어지는 학생 감소는 현실이 됐다. 하여 대학도 이제 존폐의 기로에 놓여 있다. 수도권 대학마저 ‘지잡대’가 되는 세상이고 보니 저 말이 진리는 아니어도 진실이 될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교육부가 지난 6일 대책을 내놨다. 재정 지원을 늘리고 산학협력, 학술연구를 강화한다는 ‘그 나물에 그 밥’ 같은 대책이다.

비교문학 연구자 빌 레딩스의 ‘폐허의 대학’은 대학의 역사를 통해 말 그대로 폐허가 된 오늘날의 대학을 비판한다. 그에 따르면 중세의 대학은 ‘종교를 바탕으로 순수하게 학문을 연구하는 집단’이었다. 유럽의 지식인들은 자유롭게 왕래하며 지식을 전파했는데, 대학이 그 못자리 역할을 담당했다. 19세기 대학은 ‘민족문화의 본산’이었다. 대학은 각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체계화하고 재생산하면서 전성기를 맞았다.

한국의 대학도 그런가. 그 누구도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없을 것이다. 물론 세계의 대학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세계 모든 대학이 수월성(秀越性·excellence)만을 추구하며 몰락의 길을 걷는다고 지적한다. 대학의 모든 기능을 계량화해 1등 따위의 지표만 강조하게 된다는 것이다. 수월성 추구는 궁극적으로 대학의 가치를 ‘비용 대비 효율’로 환산시킨다. 교육은 간데없고 행정이 대학을 지배할 수밖에 없다. 저자가 오늘날 대학을 폐허라고 부른 이유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하고 나면, 살아남은 대학들은 본래의 경쟁력을 회복할까. 아니다. 더더욱 수월성을 추구하며 교육이 아닌 계량화된 수치에 목을 맬 수밖에 없다. 저자는 국내 대학에서도 오래전 시작된 학과 통폐합을 예로 들면서 “학문 분야 조정에서조차 학문적 고려보다 경제적 계산이 앞서게” 될 것이라고 일갈한다.

대안은 없을까. 저자는 폐허가 된 현실을 먼저 인정하고, 질문하기를 멈추지 않는 것이 대학인의 책무이자 의무라고 말한다. 질문은 곧 사유를 의미한다. 사유를 통해 서로 다른 의견이 지속적으로 논쟁되는 장소, 이를 통해 하나의 통합적 이념이 아니라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야말로 오늘의 대학이 추구해야 할 미덕이다. 한국의 대학이 벚꽃 피는 순서대로만 망하지는 않을 것이다. 경제 논리에 사로잡힌 순간 교육은 뒷전이고, 수치만 따지는 순간 대학은 폐허에 진입한 것이다. 그곳에 목을 매고 살아가는 수많은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8월 불볕더위 아래 고난의 행군을 이어 가고 있음이 서글픈 오늘이다.

2019-08-09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