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게가 고작 1.5㎏ 정도인 뇌는 신체 각 부분을 통솔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정신활동을 일으킨다. 그토록 중요한 기관이지만 정작 그 작용과 기능의 대부분은 베일에 쌓여 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뇌에 관한 한 알려진 것보다 알려지지 않은 게 더 많다고 말한다.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가 쓴 ‘당신의 뇌, 미래의 뇌’는 그 사용설명서 없는 인간 뇌의 수수께끼를 알기 쉽게 풀어낸 교양서로 읽힌다.
시각과 인지, 감정과 기억을 키워드로 삼은 책에선 진실과 다른 일반의 인식 교정이 도드라진다. 가정 먼저 풀어지는 오류는 바로 감각과 지각의 차이다. 그 차이를 저자는 “우리는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결코 볼 수 없다”고 표현한다. 외부의 어떤 대상이 눈을 통해 들어오면 그 감각을 뇌가 해석하고 우리는 그렇게 해석한 결과물을 볼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착시는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지된 그림인데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던가 같은 크기의 원이면서도 주변을 둘러싼 원이 크면 안쪽의 원이 더 작게 보이는 현상이다. 현대과학에서는 인간의 생각, 기억, 감정, 인식의 대부분을 착시현상으로 보고 있다. 오감이 전달해 준 정보에 뇌의 해석이 플러스알파로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선택과 결정이 감정과 기억에 크게 의존한다면 어떨까. 인간은 스스로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한다고 여긴다. 하지만 책에 따르면 대부분의 선택은 비합리적이다.
뇌가 신뢰하는 것은 예전부터 알고, 경험하고, 믿었던 편견이기 때문이다. 어떤 판단을 내릴 때 초기에 접한 정보에 집착함으로써 합리적인 판단에 지장을 초래하는 현상인 ‘닻내림 효과’가 빈번하게 이뤄지는 셈이다. ‘비싼 것이 더 좋다’는 편견 탓에 실제로 맛이 동일하더라도 다르다고 생각하고, 더 비싼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대표적인 예이다.
책은 뇌과학 교양서답게 인공지능(AI) 이야기를 빼놓지 않고 있다. 그중에서도 ‘생각하는 기계가 과연 현실화될 수 있을까’라는 대목이 눈에 띈다. 독립성·정신·자유의지를 갖춘 ‘강한 인공지능’이 현실화할 경우 인간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저자는 이 대목에서 정색하고 말한다. “‘지구상에 인간이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수긍할 만한 대답을 내놓을 수 있어야만 ‘강한 인공지능’과 인류의 공존이 가능하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9-07-26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