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부고 모음 집/윌리엄 맥도널드, 뉴욕타임스 지음/윤서연 외 6명 옮김/인간희극/720쪽/2만 5000원
미국 뉴욕타임스의 부고 기사는 ‘기사스럽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팩트 위주의 전달 방식을 배제하고 한 인물의 생애와 업적, 과오 등을 깊이 있게 다룬다. 당연히 열독률도 높다. 새 책 ‘뉴욕타임스 부고 모음집’에는 1851년 창간 이후 165년간 이 신문에 실린 각 분야의 인물 160여명의 부고 기사가 담겨 있다. 영웅도 있고 악당도 있다. 이 신문의 부고 기사 편집자인 저자는 이 모음집을 “과거를 비추는 거대한 백미러”라고 했다. 부고를 통해 주인공이 살았던 한 시대를 되짚어 읽어 낸다는 뜻에서다.
책엔 정치인, 과학자, 군인, 예술가 등 다양한 나라의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아무래도 명멸한 스타들에게 우선 관심이 쏠릴 터다. 아름다운 눈을 가져 팝송 제목(베티 데이비스 아이스)에도 이름이 올랐던 여배우 베티 데이비스는 “길게 내뿜는 담배연기와 혼을 쏙 빼놓는 독설로 할리우드를 풍미했”던 인물로, 말런 브랜도는 “한 세대를 열광시킨 반항적인 천재이자 다리에 번개가 달린 것처럼 미국 대중문화 전반을 휘젓고 다닌 혁명적인 존재”였지만 “데뷔 이후 거의 60년이 흐른 뒤 심야 쇼 프로그램의 농담 소재가 되곤 하는 뚱뚱한 인물” 정도로 그려졌다.
영화배우들이, 일부를 제외하고, 70~80세 이상 장수한 반면 음악가들은 요절한 경우가 많았다. ‘재즈 천재’ 빌리 홀리데이는 44세, ‘재즈의 전설’ 존 콜트레인은 41세로 세상을 떴다. 기타리스트 지미 헨드릭스와 팝스타 재니스 조플린, 록 스타 짐 모리슨은 나란히 27세 때 세상을 등졌다. “걸걸한 저음과 노골적인 섹스 어필로 대중음악의 역사를 새롭게 쓴” 엘비스 프레슬리 역시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작곡가 조지 거슈인(38), 스티븐 포스터(37) 등도 비슷했다.
인간사에 악당이 빠지랴. 전설적인 갱 두목 알 카포네는 “‘메마른(dry)’ 시대의 방탕함을 대표하는 사내”였다. 사담 후세인에 대한 평가는 이랬다. “30년 동안 잔인함과 전쟁, 겉만 번드르르한 말들로 이라크를 통치한 독재자 사담 후세인이 토요일 동이 트기 전, 기도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가 울리는 가운데 교수형에 처해졌다. 사담 후세인의 교수형은 현대 역사상 가장 잔인한 폭군의 최후를 의미한다.” 옛 소련의 스파이 혐의를 받았던 미국 로젠버그 부부에 대한 기자의 평가는 안타까움 그 자체다. 사형 집행이 끝날 때쯤 “붉은 태양의 마지막 빛이 허드슨 강 위로 드리워졌다”니, 부고치고는 참 애수 넘치는 글이지 싶다.
우리의 경우 몇몇 전직 대통령과 북한의 두 지도자의 기사가 담겼다. 대부분 팩트 전달에 그쳤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만은 달랐다. “절망이 부패 혐의에 휩싸인 대한민국 전임 대통령을 집어삼키다”라고 썼다. 부패는 혐의일 뿐이고, 이로 인한 절망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판단인 셈이다. 아쉬운 대목도 있다. 예컨대 책의 첫 인물인 영국의 벤저민 디즈레일리 백작은 1881년 사망했다. 아마 당시엔 지금과 다른 문체로 부고 기사가 작성됐을 것이다. 현재의 문법과 사뭇 다른 우리 옛 신문들을 연상하면 알기 쉽겠다. 한데 책의 문체는 요즘과 별로 다르지 않다. 당시의 고풍스러운 문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게 어땠을까 싶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백인, 특히 남성이다. 뉴욕타임스가 여성, 흑인들에게 소홀했던 자신들의 과거 관점을 반성하며 그동안 간과했던 인물들에 대한 부고 기사를 뒤늦게나마 게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니 그 결과가 기대된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프라다 칼로
마거릿 대처
가브리엘 코코 샤넬
메릴린 먼로
찰리 채플린
인간사에 악당이 빠지랴. 전설적인 갱 두목 알 카포네는 “‘메마른(dry)’ 시대의 방탕함을 대표하는 사내”였다. 사담 후세인에 대한 평가는 이랬다. “30년 동안 잔인함과 전쟁, 겉만 번드르르한 말들로 이라크를 통치한 독재자 사담 후세인이 토요일 동이 트기 전, 기도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가 울리는 가운데 교수형에 처해졌다. 사담 후세인의 교수형은 현대 역사상 가장 잔인한 폭군의 최후를 의미한다.” 옛 소련의 스파이 혐의를 받았던 미국 로젠버그 부부에 대한 기자의 평가는 안타까움 그 자체다. 사형 집행이 끝날 때쯤 “붉은 태양의 마지막 빛이 허드슨 강 위로 드리워졌다”니, 부고치고는 참 애수 넘치는 글이지 싶다.
우리의 경우 몇몇 전직 대통령과 북한의 두 지도자의 기사가 담겼다. 대부분 팩트 전달에 그쳤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만은 달랐다. “절망이 부패 혐의에 휩싸인 대한민국 전임 대통령을 집어삼키다”라고 썼다. 부패는 혐의일 뿐이고, 이로 인한 절망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판단인 셈이다. 아쉬운 대목도 있다. 예컨대 책의 첫 인물인 영국의 벤저민 디즈레일리 백작은 1881년 사망했다. 아마 당시엔 지금과 다른 문체로 부고 기사가 작성됐을 것이다. 현재의 문법과 사뭇 다른 우리 옛 신문들을 연상하면 알기 쉽겠다. 한데 책의 문체는 요즘과 별로 다르지 않다. 당시의 고풍스러운 문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게 어땠을까 싶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백인, 특히 남성이다. 뉴욕타임스가 여성, 흑인들에게 소홀했던 자신들의 과거 관점을 반성하며 그동안 간과했던 인물들에 대한 부고 기사를 뒤늦게나마 게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니 그 결과가 기대된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19-07-12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