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진심/조해진 지음/민음사/268쪽/1만 3000원
35년 전 프랑스로 입양돼 파리에서 배우이자 극작가로 사는 ‘나나’. 어느 날 그에게 두 가지 소식이 날아든다. 하나는 자신이 헤어진 연인의 아이를 임신했다는 것, 다른 하나는 그를 주인공으로 영화를 찍고 싶다는 한국의 대학생 ‘서영’의 이메일이다. 서영은 나나가 외국으로 입양되기 전, 그를 보호했던 한 기관사가 지어 준 ‘문주’라는 이름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영화에 담고 싶다며 나나를 설득한다.
조해진 작가 장편소설 ‘단순한 진심’은 이야기가 숫제 프랑스제 크루아상처럼 겹겹이 포개진다. 한국에 간 나나가 머무는 곳은 이태원, 옛 기지촌에 자리한 서영의 자취방이다.
같은 건물 1층의 ‘복희식당’ 연희 할머니는 나나의 임신 사실을 누구보다 빨리 알아차리고, 잊고 지냈던 한국의 맛, 수수부꾸미를 해주는 사람이다. 할머니에게도 돌보던 아이를 외국으로 입양 보낸 역사가 있다. 할머니가 뇌졸중으로 쓰러지자, 나나는 임신한 몸으로 할머니를 돌보는 한편 그가 평생 애타게 부르던 아이 ‘복희’를 찾고 한국에 온 이유인 기관사를 찾는 일에 함께 매진한다.
‘단순한 진심’에 나오는 이들은 이렇게 타인의 생에 깊숙이 스며드는 사람들이다. 그것은 바로 그 자신의 결핍에서 비롯된다. 아이를 잃고 남편에게 버림받았던 연희는 기지촌에서 만난 여성 복순과 그가 낳은 생명 복희를 마다할 수 없었다. 나나 또한 그런 연희를 마다할 수 없었다. 이런 구조를 그리느라 조해진의 문장도 겹겹이 쌓였다. 그래서 절대 술술 읽을 수 없지만, 어금니로 밥알 으깨듯 문장들을 씹다 보면 뭉근한 단맛이 올라온다.
소설은 해외 입양인에 관한 각종 클리셰를 거절한다. TV에 나오는 입양인들은 한결같이 친모·친부와 만나 극적인 화해를 이루지만 마냥 해피엔딩은 아니다. 아이는 버렸으면서 늙은 개는 거둔 ‘엄마’가 있는 한편, 힘들게 찾았더니 노숙자 신세를 못 면한 ‘엄마’도 있다.
입양인들은 내가 바라던 건 엄마 그 자체가 아니라 내게 사과하는 엄마였다는 사실을 씁쓸히 깨닫는다. 그들은 ‘엄마’를 찾지 못한 나나에게 말한다. “You´re lucky.”
읽다 보면 사람 사는 세상에 클리셰란 없음을 알려주는 게 문학의 역할이라는 생각이 든다. 입양인이 아니어서 입양에 대한 소설을 쓰는 일을 주저했다는 말에서, 타인의 마음을 클리셰로 치부하지 않고 가만가만 들여다본 작가의 ‘단순한 진심’이 느껴졌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조해진 작가 장편소설 ‘단순한 진심’은 이야기가 숫제 프랑스제 크루아상처럼 겹겹이 포개진다. 한국에 간 나나가 머무는 곳은 이태원, 옛 기지촌에 자리한 서영의 자취방이다.
같은 건물 1층의 ‘복희식당’ 연희 할머니는 나나의 임신 사실을 누구보다 빨리 알아차리고, 잊고 지냈던 한국의 맛, 수수부꾸미를 해주는 사람이다. 할머니에게도 돌보던 아이를 외국으로 입양 보낸 역사가 있다. 할머니가 뇌졸중으로 쓰러지자, 나나는 임신한 몸으로 할머니를 돌보는 한편 그가 평생 애타게 부르던 아이 ‘복희’를 찾고 한국에 온 이유인 기관사를 찾는 일에 함께 매진한다.
‘단순한 진심’에 나오는 이들은 이렇게 타인의 생에 깊숙이 스며드는 사람들이다. 그것은 바로 그 자신의 결핍에서 비롯된다. 아이를 잃고 남편에게 버림받았던 연희는 기지촌에서 만난 여성 복순과 그가 낳은 생명 복희를 마다할 수 없었다. 나나 또한 그런 연희를 마다할 수 없었다. 이런 구조를 그리느라 조해진의 문장도 겹겹이 쌓였다. 그래서 절대 술술 읽을 수 없지만, 어금니로 밥알 으깨듯 문장들을 씹다 보면 뭉근한 단맛이 올라온다.
소설은 해외 입양인에 관한 각종 클리셰를 거절한다. TV에 나오는 입양인들은 한결같이 친모·친부와 만나 극적인 화해를 이루지만 마냥 해피엔딩은 아니다. 아이는 버렸으면서 늙은 개는 거둔 ‘엄마’가 있는 한편, 힘들게 찾았더니 노숙자 신세를 못 면한 ‘엄마’도 있다.
입양인들은 내가 바라던 건 엄마 그 자체가 아니라 내게 사과하는 엄마였다는 사실을 씁쓸히 깨닫는다. 그들은 ‘엄마’를 찾지 못한 나나에게 말한다. “You´re lucky.”
읽다 보면 사람 사는 세상에 클리셰란 없음을 알려주는 게 문학의 역할이라는 생각이 든다. 입양인이 아니어서 입양에 대한 소설을 쓰는 일을 주저했다는 말에서, 타인의 마음을 클리셰로 치부하지 않고 가만가만 들여다본 작가의 ‘단순한 진심’이 느껴졌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7-12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