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편소설 ‘상냥한 사람’으로 돌아온 작가 윤성희
등단 20년 차의 작가는 독자들에게 어떤 것을 바랄까. “욕심은 없고, 독자들이 책 덮고 2~3일쯤 지나 길을 걷다가 한 장면 정도는 생각나면 좋을 거 같아요.” 해장국 집에서 ‘츱츱’하고 뼈다귀를 빨아 먹는 소리, ‘쌍쌍바’를 혼자 먹는 모습 등 윤성희의 소설에는 작지만 쉬이 잊을 수 없는 장면들이 많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작가는 “5년 전부터 ‘상냥한 사람’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만지작거렸다”고 했다. 사실 ‘상냥’이란 사람들이 입말로는 잘 쓰지 않는 사어(死語)에 가깝지만, 작가는 이 단어를 먼저 두고 글을 풀어나갔다. “‘친절한 사람’, ‘따뜻한 사람’ 이러면 현실감이 있는데 ‘상냥한 사람’은 비현실적이잖아요. 뭔가 겹이 있을 거 같고 희한했어요.”
최근 서울 마포구 서교동 까페창비에서 만난 작가는, 자신과 비슷한 또래의 형민을 두고 “한 때 반짝했다가 시시한 중년이 된 사람”이라고 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어떤 걸로 반짝했을까’ 생각해 보니 아역 배우가 떠올랐고요. 스스로 배우가 되고 싶었던 것도 아닌데 한때는 온 국민을 울렸던 사람이 그 이미지로만 남아 있다 성인이 된다는 건 무엇일까 궁금했어요.”
소설 속 형민은 마렵지 않은 오줌을 누거나, 변기 앞에서 주춤하며 돌아서는 사람이다. 방송 녹화 도중 “화장실 좀” 했다가 막상 가서는 손만 닦고 나오고, 대학 산악 동아리에서 한 명씩 돌아가며 ‘고해성사’하는 장면에서 부러 화장실에 간다.
‘윤성희의 소설은 겁쟁이들의 소설’(황예인 문학평론가)이라는 평처럼 형민도 어김없이 겁쟁이인 탓이다. “어릴 때는 겁쟁이어도 되잖아요. 커서는 훨씬 무서운 일이 많은데도 어른에게 겁쟁이란 말이 금기어 같아요. 사는 것도 소설 쓰는 것도, 사실 좀 무섭고 겁이 나는데. 겁쟁이 어른에 대한 연민이 좀 있어요.”
윤성희표 장편은 일면 연작 소설 같기도 하다. 분명 주인공은 형민이지만, 주변부 인물들의 이야기가 끝도 없이 가지를 뻗어나간다. 형민의 삶을 되짚는 ‘그 시절, 그 사람들’의 사회자는 물론 형민의 딸 친구의 부모들 사연까지도 풍성하게 다루는 식이다.
“저는 사실 인물을 만드는 것은 인물을 뺀 나머지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요. 누구랑 친해진다는 건 누구의 엄마도 알고 아빠도 아는 거잖아요. 나라는 인간을 말하려면 미우나 고우나 주변 사람들 얘기를 해야 하는 거죠.”
그게 ‘TMI’(너무 과한 정보·Too Much Information)라고 여겨지지 않는 이유는 그들 삶의 풍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 모두가 공감하는 일상의 편린들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고속도로가 있을 때 샛길을 나갔다가 언제 들어올지 생각해야 하는 것처럼 완급조절을 항상 고민한다”며 웃었다.
등단 20년, 꾸준히 쓴 사람은 알지 않을까 싶어 물었다. 요즘 시대의 문학의 의미는 뭘까. 한곳을 응시하던 그는 “모든 행위는 ‘인간이란 무엇일까’를 묻는 것”이라면서 그곳에 걸린 경찰포스터를 가리켰다.
“만약 경찰이라면, ‘인간은 무엇이길래 악에 빠질까’ 했을 거예요. 전 소설가라 이야기로써 이 물음을 풀어내고 있달까요.” 이야기가 좋아서 일단은 쓰고, 사후에 의미를 물어본다는 작가의 대답이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7-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