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에 빠진 박연준·안희연 시인…나란히 춤 사유하는 산문집 펴내
시력 15년의 시인들이 손꼽는 산문가인 박 시인은 일주일에 세 번 발레를 배운다. 어느 날 자신이 다니는 발레교습소의 아래층엔 요양원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다리를 찢고 팔을 들어 올리고 빙글빙글 턴을 하는 동안 자신이 서 있는 곳 아래 어떤 노인들이 누워 있을 것이라는 사실이 문득 시인을 슬프게 한다. 책 속에서 시인은 나는 나임과 동시에 세계의 일부임을 주지하고, 그 속에서 허리를 펴고 몸을 곧추세우며 소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결심들을 이어 간다. 가령 스마트폰 쓰지 않기, 누군가에 대해 함부로 안다고 말하지 않기 같은 것들이다.
어느덧 박 시인의 정체성에 가까운 발레는 독일의 무용가 피나 바우슈(1940~2009)를 다룬 영화 ‘피나’를 본 데서 기인한다. 그는 피나의 자태, 고매한 분위기를 닮고 싶었다. 시는 ‘언어가 추는 춤’이라 믿는 시인은 자신의 정체성과 무용수의 정체성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춤추지 않으면 무용수들은 길을 잃는다”는 바우슈의 말을 빌려 시인은 “길을 잃어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한다.
2015년 신동엽문학상을 수상한 안 시인의 책은 아예 바우슈를 향한 연서에 가깝다. 바우슈 타계 10년을 맞아 출간된 책은 무용과 연극을 결합한 파격과 실험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무엇보다 인간에 대한 깊은 신뢰를 잃지 않았던 거장의 태도에 골몰한다. 역시나 영화 ‘피나’를 보고 바우슈에 입문한 안 시인은 영화를 보며 무용수들의 몸짓 하나하나가 몸의 세포를 깨우는 체험을 한다. 이후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꾸벅꾸벅 조는 여인의 어깨 등 일상 속 몸짓들을 ‘오늘 본 춤의 목록’으로 채워 넣다 문득 깨달았다고 적었다. 그것들의 다른 이름이 ‘시’라고.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6-2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