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경계 문학’ 전성시대다. ‘자이니치’(재일동포)의 생애를 처절하게 그린 한국계 미국 작가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가 큰 인기를 끈 후 입양아·교포 출신 작가들의 책이 주목받고 있다.
소설 ‘안전한 나의 집’은 이 모든 배경이 집약된 가족에 가정폭력의 그늘까지 드리웠다. 명색이 대학 교수이지만 생활고에 시달리는 ‘경’과 ‘질리언’ 부부가 있다. 카드 돌려막기로 연명하다 공인중개사를 청해 집값을 알아보던 어느 날, 집 뒤뜰에 피투성이의 알몸 여성이 나타난다. 자세히 보니, 언덕 위 부촌에 사는 어머니다. 그녀는 한국말로 “아버지가 다치셨다”고 말하지만 한국말에 서툰 경은 “아버지가 때렸다”로 알아듣는다.
아버지의 폭력이 일상이었던 가족, 그것이 경네 가족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덕 위 부모의 집에서 만난 풍경은 전혀 딴판이다. 아버지는 누군가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폭행당했고, 보스니아 출신 가정부도 성폭행을 당한 상태로 발견된다.
참사 앞에서 가족이 의기투합하는 것이 고전적인 성공 서사라면 이들 가족에게 뜻밖의 참사는 해묵은 갈등을 모조리 ‘팝업’시키는 기제다. 처참한 현장을 함께 목격한 경의 장인과 처남은 일찌감치 아시아계 경과의 결혼을 반대한 인물들이고, 경네 가족은 생활수준이 떨어지는 질리언네 친정 식구들을 무시한다. 가정폭력의 굴레에서 자라난 경은 퇴원 후 자신의 집으로 들어온 아버지가 손자를 때리지나 않을까 전전긍긍한다. ‘가장 잔혹한 일들은 집 안에서 일어난다’는 출판사 측 카피가 온몸으로 와닿는 장면들이다.
너무 가까워서 질척거리고, 잔혹한 현실을 표현하는 데 작가는 동급 최강이다. 책에는 가족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진저리나게 구질구질한 장면이 한가득이다. 알몸인 어머니의 몸을 감싸려 빨랫줄에 널어둔 비치 타월을 급히 낚아채자 튕겨져 나온 플라스틱 집게가 얼굴을 강타하고, 아내의 시선을 피해 늦은 밤 몰래 숨어 들어간 집에서 변기 물 내려가는 소리는 허리케인급이다. 이렇게 몸서리쳐지는 장면들에 경의 안간힘에도 더욱 축적되는 갈등, 시시각각 터져 나오는 반전으로 여름밤 ‘페이지 터너’의 자격이 충분한 소설이다.
소설에서 가장 강력한 진실은 아내 질리언의 일갈이다. “문제는 우리가 아니라 당신 자신이었다는 것을. 불행했던 과거에 대한 당신의 집착이 이렇게 만들어버렸다는 걸!”(314쪽) 가정폭력 피해자인 경의 현실이 측은하지만,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나의 과거가 현재로 전이된 것은, 누가 뭐래도 내 탓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6-14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