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장편 소설, 남성 아닌 여성이 썼다”

“18세기 장편 소설, 남성 아닌 여성이 썼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19-05-21 23:06
수정 2019-05-22 09: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작 ‘대소설의 시대’ 펴낸 김탁환

남성들이 한글소설 썼다고 알려졌지만 180권짜리 ‘완월회맹연’도 여성이 집필
그 방대함 다룬 ‘백탑파’ 다섯 번째 소설
이미지 확대
김탁환 작가는 말을 부러 예쁘게 하려고 하지 않았다. 작가는 독자들이 읽다 말고 책에 줄을 긋는 것도 싫단다. 그럴 겨를도 없이 이야기는 내달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김탁환 작가는 말을 부러 예쁘게 하려고 하지 않았다. 작가는 독자들이 읽다 말고 책에 줄을 긋는 것도 싫단다. 그럴 겨를도 없이 이야기는 내달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소설사를 논할 때 김시습의 ‘금오신화’, 허균의 ‘홍길동전’, 김만중의 ‘구운몽’·‘사씨남정기’, 이인직의 ‘혈의 누’, 이광수의 ‘무정’만 가르칩니다. 조선시대부터 중요한 소설들은 다 남자들이 쓴 것처럼. 그런데 1700년대 대장편의 시대가 열렸는데, 보니까 여자들이 쓰고 읽었다는 거죠.”

18세기 조선에는 100권, 200권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분량의 한글 소설이 있었다. 이걸 쓰고 읽는 이는 뜻밖에 여성이었다. 김탁환(51) 작가의 장편 ‘대소설의 시대’(민음사)는 정약용, 박지원, 박제가 등 18세기 실학파를 중심으로 형성된 집단 ‘백탑파’를 다루는 시리즈의 다섯 번째 소설이다. 김진, 이명방 등 시리즈의 고정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철저히 포커스는 대소설을 쓰고 필사하고 유통하는 여성들에 맞춰져 있다.

지난 20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문학창작촌에서 만난 작가는 대학(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때 교수님 서가에서 그 많은 궁체의 한글 소설들을 처음 접했다고 했다. “사대부 계층의 남자들이 쓰고 여자들이 읽었다고 배웠는데 이상했어요. 연애를 할 때 여자가 느끼는 감성들, 한 집안에서 처와 첩이 치고 박고 싸우는 사건들. 정말 남자가 썼으면 자료 조사 열심히 했나 보다 이런 생각을 했죠.” 그의 의심처럼 최근 180권에 이르는 ‘완월회맹연’ 같은 당대 대소설들이 여성들의 손에 쓰여졌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왔다. 여기서 시작해 작가는 23년째 ‘산해인연록’을 써서 매달 혜경궁 홍씨에게 바치는 여성 작가 ‘임두’를 만들어 낸다. 199권까지 잘 써오던 임두는 뜻밖에 5개월째 200권을 쓰지 못하고, 궁에서는 김진과 이명방을 호출해 사정을 알아보라 명한다.

의아한 한문들의 향연인 목차 속 ‘곽장양문록’, ‘쌍천기봉’, ‘소현성록’ 등은 그 시절 소설들이다. 누락된 역사를 상기시키기 위해 일부러 넣었다. “1700~1800년대 한글로 된 소설을 아무도 모르는 겁니다. 목차를 보는 순간 ‘읽을 수 있나’ 겁을 주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괴작이라 망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했어요. 하하.” 백탑파 시리즈 첫 번째인 ‘방각본 살인사건’(2003)은 18세기 후반 판을 사야 하고, ‘각수’라는 이가 돈을 받고 글을 판에 새기던 자본주의적 소설 생산 방식을 다룬 반면 이 시대 여인들의 소설 생산은 전적으로 아날로그적이다. “전자는 시중에서 사람들이 책을 사서 읽은 반면 후자는 계층이 훨씬 높은 사람들이 시간 제약과 돈 한두 푼 아끼려고 판을 줄여야 하는 일도 없이 무한대의 연재를 계속해 왔습니다.” 국학의 발전에 따라 백탑파에 대한 연구 성과도 점점 쌓이고 시리즈도 살아 있는 생물처럼 기반 서사가 발전하는 형국이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의 말은 단편의 시대에 홀로 장편의 시대를 사는 작가 김탁환이 하는 말과 다름없다. ‘하루를 양분하여 절반은 쓰고 절반은 읽는다’는 것(1권 198쪽), ‘대작을 이어 쓰려면, 소설가 외엔 직업을 버려야 한다’는 것(1권 23쪽) 등이다. 백탑파 외에도 틈틈이 ‘거짓말이다’(2016), ‘살아야겠다’(2018) 등 굵직한 단행본 장편을 써내려오고 있는 작가다. 그는 실제 오전에는 쓰고, 오후에는 읽는다. 1년에 두 달 ‘안식월’을 제외하고는 하루에 200자 원고지 20장씩 꼬박꼬박 쓴다. 2009년 교수직을 그만둔 이래 행정·회의·교육·잡문이 없는 시간 속 오로지 장편소설에만 매진하고 있다. “독자들이 되게 이상하대요. 백탑파 이야기이긴 한데, 김탁환이라는 사람이 얹혀서. 이종 듀엣곡 같다고 해야 하나. 한 피아노에 두 명이 앉아서 치는.” 그래서 작가는 “대소설의 시대가 내 인생 소설 같다”고 했다.

궁금해졌다. 작가가 장편을 고집하는 이유. 그렇게 쓰여진 장편소설이야말로 제대로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글쓰기 방법이라는 게 작가의 생각이다. “장편소설 한 편을 쓰는 데 최소 3년 정도 걸린다고 하면 1000일 정도 되는 거죠. 장편은 어떤 문제와 다루고 싶은 주인공에 대해서만 천 번 생각할 수밖에 없게 나를 강제하는 장르예요.” 천 번 생각하고 공부한 흔적으로, 그의 책은 그 옛날 200권짜리 책처럼 읽힌다. 술술.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5-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