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대화에 대하여’
저자는 대화를 일러 ‘새로운 시대를 여는 열쇠’라고 말한다. 물론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게 현실이다. ‘경제계와 정치계의 막강한 세력이 세상을 지배하고, 갈등이 삶의 본질이며, 인간은 사실상 동물이고 역사는 생존과 지배를 향한 오랜 투쟁의 기록일 뿐이라고 굳게 믿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 대목에서 저자는 사회에 대한 인식을 바꿀 것을 촉구한다. “제가 보는 세상은 배우자를, 연인을, 스승을, 신을 찾는 개인들이 모여 만들어진 곳입니다. 개인들의 만남이야말로 삶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누군가는 좌절하고, 탐색을 포기하고, 냉소적으로 변합니다. 반면에 누군가는 끊임없이 새로운 만남을 찾아 나서지요.”
거대한 무언가를 냉소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내 옆의 대화 상대를 찾고 새로운 만남을 갖는 것. 그것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길이라고 저자는 믿는다. 스스로는 공적 언어라고 말하고 싶겠지만, 막말은 그저 막말일 뿐,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은 저자에 따르면 ‘사적인 대화’이다. ‘관계에 무한히 소중한 무언가를 더해주는 것’이 바로 대화이기 때문이다. 젤딘의 말이 이어진다. “대화를 나누면서 서로 생각에 자극을 받고 변화하면 우리가 남들에게 얼마나 큰 빚을 지고 있는지, 상대가 고유한 존재로 남아 있으면서도 우리의 지적, 도덕적, 정서적 발달에 얼마나 크게 기여하는지 깨닫게 됩니다.” 누군가와 이런 대화를 나누다 보면 ‘아름다움에 대한 우리의 관점이 유연해지고, 생각이 달라지면 우리 자신도 새로운 사람’이 될 수 있다.
정치인들이 대화를 못하는 이유를 저자는 명쾌하게 짚어낸다. 내가 누구인지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은 누구인지’를 묻는 데서 진정한 대화가 시작되는데, 정치인 중 누구도 그렇게 묻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젤딘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지나치게 몰입하지 말 것을 권한다. ‘한 개인이 자기에 관해 알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법’이기 때문이다. 우리 할 일은 자명한 데 ‘다른 사람들이 무한히 더 흥미롭고, 그들이 할 말도 무한히 더 많다’는 사실을 깨닫고 실천하는 것이다.
‘대화에 대하여’는 짧은 책이다. 강연을 풀었기에 읽는 맛도 제법 좋다. 다들 뛰어난 분들이시니 집중하면 한나절이면 다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막말 겨루기, 아무 말 대잔치를 벌이시는 정치인들에게 권한다. ‘대화에 대하여’를 제발 읽어 주시라.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2019-05-17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