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는 마음/경심 지음/현암사/248쪽/1만 4000원
내가 살아 보지 않은 삶을 대할 때, 얼른 어떤 유형으로 나누고 분류해 밀어두는 것은 나쁜 버릇이다. 같은 시대를 함께 사는 사람을 제대로 보지 않으려는 짓이다. 당면한 내 일이 아니라고,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를 외면하려는 짓이다. 내가 그 짓을 하고 있었다.
성수대교 참사 이야기에 깜짝 놀라 그때 비로소 저자의 나이를 짚어 보았다. 막연하게, 1960~70년대 공장노동자들의 이야기를 읽듯 그렇게 읽고 있었던 것이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진학은 꿈도 못 꾸고 직업훈련원에 들어가 남자가 절대다수인 곳에서 임시기숙사에서 손톱 밑을 철수세미로 닦아 가며 일을 배운 여자. 집안의 부담을 덜겠다며 급하게 취직했다가 첫 월급으로 고작 21만원을 받은 이 여자. 20년간 버티고 버티며 우리나라의 경제주역을 자부하다 정리해고당한 이 사람은 지금 나와 같은 시절에 살고 있다. 함께 같은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아가며.
그는 담담하고 솔직하게, 그리고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자신의 삶을 써내려간다. 넋두리하거나 자신을 비극의 주인공으로 치장하지 않는다. 똑똑한 기억력과 상황에 대한 이해력으로, 당시의 역사와 자신의 삶 전후 관계를 살피고 잇는다. 그렇게 그는 현실의 부조리함과 자신이 받은 대우의 부당함을 설득력 있게 보여 준다.
그렇기에 “결핍이 나를 움직이게 했다. 하지만 나에게 결핍은 결코 꿈이 될 수 없었다. 손가락이 부르트도록 절벽을 기어오르면 나를 기다린 것은 아득한 절망이었다. 셀 수 없을 만큼 결핍의 골짜기로 내몰리고 다시 오르면서도 여전히 난 행복하지 않다. 가진 것 없이도 행복할 수 있단 말이 내겐 그 무엇보다 잔인한 말이었다”는 토로가 마음 깊이 스며든다. 무턱대고 긍정적인 마인드를 역설하는 분위기 속에서 “내게 무례했던 사회”를 향한 그의 목소리는 소중하다. 개인의 삶이 제 목소리를 낼 때 사회는 좀더 섬세하게 나아질 수 있으리라. 가해자가 스스로 자신이 가해자라는 것도 모르는 상황이기에 더 소중한 목소리다.
그의 말대로, 아직 끝나지 않았다. 언제 끝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렇지만, 살피고 돌아보는 과정이 있느냐 없느냐는 큰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더 많은 동시대 사람들의 말과 글이 필요하다. 누군가는 쓰고 있겠지. 저자의 말처럼 “살다 보니 살아졌던 것처럼, 쓰다 보니 써졌다”며 자신만의 폴더를 쓰다듬는 사람들이 있겠지. 그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다. 더 많이. 더 귀 기울여.
성수대교 참사 이야기에 깜짝 놀라 그때 비로소 저자의 나이를 짚어 보았다. 막연하게, 1960~70년대 공장노동자들의 이야기를 읽듯 그렇게 읽고 있었던 것이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진학은 꿈도 못 꾸고 직업훈련원에 들어가 남자가 절대다수인 곳에서 임시기숙사에서 손톱 밑을 철수세미로 닦아 가며 일을 배운 여자. 집안의 부담을 덜겠다며 급하게 취직했다가 첫 월급으로 고작 21만원을 받은 이 여자. 20년간 버티고 버티며 우리나라의 경제주역을 자부하다 정리해고당한 이 사람은 지금 나와 같은 시절에 살고 있다. 함께 같은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아가며.
그는 담담하고 솔직하게, 그리고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자신의 삶을 써내려간다. 넋두리하거나 자신을 비극의 주인공으로 치장하지 않는다. 똑똑한 기억력과 상황에 대한 이해력으로, 당시의 역사와 자신의 삶 전후 관계를 살피고 잇는다. 그렇게 그는 현실의 부조리함과 자신이 받은 대우의 부당함을 설득력 있게 보여 준다.
그렇기에 “결핍이 나를 움직이게 했다. 하지만 나에게 결핍은 결코 꿈이 될 수 없었다. 손가락이 부르트도록 절벽을 기어오르면 나를 기다린 것은 아득한 절망이었다. 셀 수 없을 만큼 결핍의 골짜기로 내몰리고 다시 오르면서도 여전히 난 행복하지 않다. 가진 것 없이도 행복할 수 있단 말이 내겐 그 무엇보다 잔인한 말이었다”는 토로가 마음 깊이 스며든다. 무턱대고 긍정적인 마인드를 역설하는 분위기 속에서 “내게 무례했던 사회”를 향한 그의 목소리는 소중하다. 개인의 삶이 제 목소리를 낼 때 사회는 좀더 섬세하게 나아질 수 있으리라. 가해자가 스스로 자신이 가해자라는 것도 모르는 상황이기에 더 소중한 목소리다.
그의 말대로, 아직 끝나지 않았다. 언제 끝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렇지만, 살피고 돌아보는 과정이 있느냐 없느냐는 큰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더 많은 동시대 사람들의 말과 글이 필요하다. 누군가는 쓰고 있겠지. 저자의 말처럼 “살다 보니 살아졌던 것처럼, 쓰다 보니 써졌다”며 자신만의 폴더를 쓰다듬는 사람들이 있겠지. 그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다. 더 많이. 더 귀 기울여.
2019-05-17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