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코뿔소의 비밀/프랑수아 자비에 포벨 지음/이한규·김정숙 옮김/눌민/304쪽/2만 8000원
아프리카 역사는 고대와 근현대 위주로 연구됐다. 고대 이집트 문명, 페니키아와 카르타고, 에티오피아 악숨 문명으로 대표되는 고대사, 노예무역과 제국주의 식민통치로 점철된 근현대사 사이에 있는 아프리카의 중세기는 과소평가돼 사실상 잊힌 역사나 다름없었다. 저자는 이 중세 아프리카에 덮어씌워진 암흑을 벗겨 내 황금기로 복원한다.
중세 아프리카에서 있었던 국제 교류를 보면 왜 이 시기가 그동안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는지 의아하기도 하다. 북서쪽으로 유럽, 북쪽으로는 이슬람 국가들, 인도양을 사이에 두고는 인도, 중국 등과 활발히 교류한 사료들이 있다. 중국인들의 아프리카 경험담은 구체적이지는 않지만 8~15세기 두 지역 간 간접적인 교류가 증가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저자는 중국과 아프리카를 연결한 중개자가 이슬람이었다고 분석한다. 11~12세기 니제르강 남부 사헬 지역에서는 군주들의 이슬람 개종이 잇따르기도 했다. 새로운 개종자들과 이슬람 세계는 같은 ‘언어’를 공유하게 됐다.(92쪽)
책 표지의 ‘황금 코뿔소’ 역시 다른 대륙과 교류한 근거로 분석된다. 1932년 남아프리카 마풍구브웨 유적지에서 발견된 14㎝ 크기의 작은 코뿔소상은 다른 아프리카 코뿔소처럼 뿔이 2개가 아닌 1개라는 점에서 아시아종 코뿔소가 아니냐는 추정도 있어 왔다. 저자는 “낯선 세계와의 상업적 관계를 이용해 정치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권력이 출현했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고 말한다.(170쪽)
역사가 복원될 때마다 화려한 신화로 포장되곤 하는 모습에 비춰 보면 저자가 책에 서술한 34개의 단편들은 다소 담담하다. 당시 사료가 워낙 부족하다 보니 각각의 단편들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꼼꼼하게 역사를 꿰어 맞췄다. 하지만 이같은 중립적이고 학구적인 접근은 독자의 지적 상상력을 더욱 자극시킨다. 아프리카 역사의 본격적인 복원을 알린 이 책은 출간된 2013년에 프랑스 역사학대회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4-12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