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집이 되어가는 중입니다/이현화 지음/황우섭 사진/혜화1117/256쪽/1만 6000원
우주의 한자가 집 ‘우’(宇), 집 ‘주’(宙)이고, 우리의 우주는 집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 많은 이들이 체감하나 실감하지 못한다. 2년에 한 번씩 고단한 살림을 이고지고 이사하는 수많은 이들에게 집이란 매일의 일상이 펼쳐지는 작은 우주이지만, 한편으로는 못 한 개 제대로 박지 못하는 ‘남의 것’이기도 하다.
내 집 한 채 갖기가 이렇게 고단하구나. 이 책을 읽고 든 첫 번째 생각이었다. 집을 전체에서 세부로 누비며 구석구석 찍은 사진은 아름답고, 페이지가 넘어가면서 앙상한 기둥밖에 없던 집이 차츰 집 꼴을 갖춰가는 게 경이로움에도 불구하고 그랬다. 이 집은 더더욱 그랬겠다. “손때로 지은 집”이었기 때문이다. 저자가 ‘효율’과 ‘손맛’ 중에 손맛을 택했던 건 어쩔 수 없는 사정도 있었다. 골목 안쪽에 있어 큰 장비가 들어오지 못하는 터라 기계로 간단히 할 수 있는 일도 온통 손으로 해야 했었다고. 그러나 그런 상황이 아니었더라도, 저자는 손맛을 선택했을 것이다. 그것에 반해 시작한 일이었기에 그렇다. 그러니 그 과정이 얼마나 고단했을 것인가. 하지만, 고단함도 한 권의 단정한 책이 되니 작은 역사가 된다. 오래된 한옥 한 채가 ‘나의 집이 되어가는’ 과정은 저자에게뿐 아니라 독자에게도 의미깊어진다.
이 책의 부제는 ‘1936년에 지어진, 작은 한옥 수선기’이다. 다른 삶을 모색하던 저자는 오래 해온 책 만드는 일을 내려놓고 일을 바꿔보려고 알아보던 과정에서 이 집을 만난다. 그리고 이 집을 사서 수리함과 동시에 직장을 그만두고 일인출판사를 세워 책을 한 권씩 만들어간다. 이 책을 낸 출판사의 이름이 바로 이 작은 한옥의 주소지이다. 저자에게 이 집은 그저 집에 그치지 않고 우주가 되고 운명이 된다.
사진을 찍은 황우섭은 이전에도 공간의 사진을 주로 찍어온 사진작가이다. 저자와의 인연으로 이 집의 처음부터 끝까지 찍는 인연을 얻는다. 나무와 돌, 종이로 만들어진 한옥은 물성 그 자체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건물이라는 것을 이 책에 실린 사진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매체에 연재되기 시작한 사진들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이 책은 그 결과물로 나왔다. 이 사진을 보며 한옥에 반하는 이들, 많겠다.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을 통해 집이라는 물리적 공간이 그 안에 사는 사람의 삶과 관계를 맺는 하나의 방식을 독자들과 나누고 싶었다”고. 이 책을 읽으며 새삼 나의 삶과 삶이 담긴 공간을 생각한다. 청소를 해야겠다.
내 집 한 채 갖기가 이렇게 고단하구나. 이 책을 읽고 든 첫 번째 생각이었다. 집을 전체에서 세부로 누비며 구석구석 찍은 사진은 아름답고, 페이지가 넘어가면서 앙상한 기둥밖에 없던 집이 차츰 집 꼴을 갖춰가는 게 경이로움에도 불구하고 그랬다. 이 집은 더더욱 그랬겠다. “손때로 지은 집”이었기 때문이다. 저자가 ‘효율’과 ‘손맛’ 중에 손맛을 택했던 건 어쩔 수 없는 사정도 있었다. 골목 안쪽에 있어 큰 장비가 들어오지 못하는 터라 기계로 간단히 할 수 있는 일도 온통 손으로 해야 했었다고. 그러나 그런 상황이 아니었더라도, 저자는 손맛을 선택했을 것이다. 그것에 반해 시작한 일이었기에 그렇다. 그러니 그 과정이 얼마나 고단했을 것인가. 하지만, 고단함도 한 권의 단정한 책이 되니 작은 역사가 된다. 오래된 한옥 한 채가 ‘나의 집이 되어가는’ 과정은 저자에게뿐 아니라 독자에게도 의미깊어진다.
이 책의 부제는 ‘1936년에 지어진, 작은 한옥 수선기’이다. 다른 삶을 모색하던 저자는 오래 해온 책 만드는 일을 내려놓고 일을 바꿔보려고 알아보던 과정에서 이 집을 만난다. 그리고 이 집을 사서 수리함과 동시에 직장을 그만두고 일인출판사를 세워 책을 한 권씩 만들어간다. 이 책을 낸 출판사의 이름이 바로 이 작은 한옥의 주소지이다. 저자에게 이 집은 그저 집에 그치지 않고 우주가 되고 운명이 된다.
사진을 찍은 황우섭은 이전에도 공간의 사진을 주로 찍어온 사진작가이다. 저자와의 인연으로 이 집의 처음부터 끝까지 찍는 인연을 얻는다. 나무와 돌, 종이로 만들어진 한옥은 물성 그 자체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건물이라는 것을 이 책에 실린 사진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매체에 연재되기 시작한 사진들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이 책은 그 결과물로 나왔다. 이 사진을 보며 한옥에 반하는 이들, 많겠다.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을 통해 집이라는 물리적 공간이 그 안에 사는 사람의 삶과 관계를 맺는 하나의 방식을 독자들과 나누고 싶었다”고. 이 책을 읽으며 새삼 나의 삶과 삶이 담긴 공간을 생각한다. 청소를 해야겠다.
2019-04-05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