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는 누드가 없다.’ 전통적인 중국 회화, 조각에선 불문율처럼 제대로 된 누드작품이 전무하다. 장르는커녕 개념조차 없다. 왜 그럴까. 서양철학과 중국학을 두루 연구해 온 프랑수아 줄리앙 프랑스 파리7대학 교수는 중국의 ‘누드 부재’를 중국문명 특유의 문화선택으로 규정한다. 누드를 기준 삼아 동서양 철학을 비교하는 시각이 기발하다.
누드의 원천인 서양 형태학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뿌리를 둔다. 플라톤 ‘이데아’ 개념의 기초는 형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형상에 질료의 개념을 더했다. 주체와 객체의 명확한 분리는 데카르트 철학의 기본전제이고 그것이 근대과학을 이끌었다.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누드는 “서양을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온 시대를 관통하여, 미술 전반에 걸쳐 하나로 이어주 는 고리”이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형태학보다는 기의 순환체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 기운은 인체 속에만 있는 게 아니라 외부와 소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정지된 형상, 존재의 본질이 아니라 만물의 변화에 감춰진 이와 기를 표현한다. 소동파나 예찬이 그린 바위가 소용돌이치는 기운 속에 있거나 유와 무의 경계가 흐려진 상태에 있는 게 대표적이다. ‘큰 형상은 형태가 없다’는 노자의 구절과 같은 맥락이다. 서양의 누드에서는 형태와 동작을 충실하게 표현하려 하지만 중국에선 그림을 그리는 게 아니라 ‘쓴다’고 한다.
서양철학자이면서 프랑스 최고의 중국학자답게 칸트와 헤겔에 대한 지적도 눈에 띈다. 칸트는 누드의 숭고미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고 꼬집는가 하면 헤겔 또한 누드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한계에 다다른 서양철학에 새 돌파구를 찾기 위해 중국학을 공부했다는 저자는 이런 앙금을 남겼다. “누드가 완전히 무시되고 있는 중국의 미술 전통이 인물화와 인체 조각을 충분히 발전시켜 왔다는 건 놀라운 사실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9-03-22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