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 정년이 돌풍…잠자던 국극 소환, 극중극 실험 통했다

안방 정년이 돌풍…잠자던 국극 소환, 극중극 실험 통했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24-11-06 18:00
수정 2024-11-07 02: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드라마 ‘정년이’ 차별화 포인트는

춘향전·자명고 공연에만 15분 할애
호불호 갈릴 액자식 구성 파격 배치
시청률 13%·유튜브 3억뷰 인기몰이

주조연 배우 1~3년 소리 연마 집중
시각·청각적 몰입 높여 볼거리 제공
원작자 “웹툰서 구현 못한 표현 감동”
이미지 확대
1950년대 여성국극을 소재로 ‘타고난 소리 천재’ 윤정년의 성장기를 다룬 tvN 드라마 ‘정년이’. 극중극 ‘춘향전’의 국극 무대에서 정년 역의 김태리가 방자 연기를 펼치고 있다. tvN 제공
1950년대 여성국극을 소재로 ‘타고난 소리 천재’ 윤정년의 성장기를 다룬 tvN 드라마 ‘정년이’. 극중극 ‘춘향전’의 국극 무대에서 정년 역의 김태리가 방자 연기를 펼치고 있다.
tvN 제공


70년 전 화려하게 꽃피웠다 잊힌 여성국극 시대를 되살린 tvN 토일드라마 ‘정년이’. 첫 회 시청률 4.8%(닐슨코리아 유료플랫폼 기준)에서 6회 13.4%까지 찍은 ‘정년이’에는 본편 못지않게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드라마가 탑재돼 있다.

1950년대 여성 소리꾼의 성장기를 그려낸 12부작 ‘정년이’는 기존 드라마의 문법을 깨는 ‘극중극’(드라마 속에 삽입된 작품) 배치가 차별적 포인트다. 액자식 구성의 전형인 ‘극중극’은 잘 쓰면 본편을 돋보이게 하지만 잘못 쓰면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다. 제작진의 과감한 극중극 실험은 결과적으로 성공했다.

이미지 확대
1950년대 여성국극을 소재로 ‘타고난 소리 천재’ 윤정년의 성장기를 다룬 tvN 드라마 ‘정년이’. 6회 ‘자명고’에서 호동왕자를 연기한 문옥경 역의 정은채와 구슬아기로 분한 홍주란 역의 우다비. tvN 제공
1950년대 여성국극을 소재로 ‘타고난 소리 천재’ 윤정년의 성장기를 다룬 tvN 드라마 ‘정년이’. 6회 ‘자명고’에서 호동왕자를 연기한 문옥경 역의 정은채와 구슬아기로 분한 홍주란 역의 우다비.
tvN 제공


3회에 나오는 ‘춘향전’과 6회의 ‘자명고’에서 배우들의 소리와 춤, 연기 등 볼거리는 여성국극 무대를 안방에서 직관하는 듯한 색다른 재미를 선사했다. 제작진은 방자 역의 김태리와 이몽룡 역의 신예은이 열연한 ‘춘향전’을 드라마 전체 시간의 3분의1인 20여분간 보여 줬다. 낙랑공주와 호동왕자의 비극적 사랑을 그린 ‘자명고’도 15분 넘게 할애해 라이브 무대의 느낌을 더했다.

유튜브에서도 인기다. 지난 4일 기준으로 드라마 관련 영상 조회수가 3억뷰를 돌파했고, 극중극을 편집한 실황 영상 콘텐츠들은 공개 2주 만에 누적 조회수 1000만뷰를 넘었다. tvN 관계자는 “‘춘향전’에서 방자와 이몽룡이 익살스러운 만담으로 찰떡같은 연기 궁합을 보여 준 장면과 ‘자명고’에서 낙랑국 목련공주(김윤혜 분)가 자명고를 찢는 장면이 분당 시청률 집계에서 최고의 1분으로 꼽혔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1950년대 여성국극을 소재로 ‘타고난 소리 천재’ 윤정년의 성장기를 다룬 tvN 드라마 ‘정년이’. ‘자명고’의 군무 장면. tvN 제공
1950년대 여성국극을 소재로 ‘타고난 소리 천재’ 윤정년의 성장기를 다룬 tvN 드라마 ‘정년이’. ‘자명고’의 군무 장면.
tvN 제공


극중극이 완성도 높은 공연으로 시각적·청각적 몰입 효과를 높일 수 있었던 건 배우들의 공이 크다. 윤정년을 연기한 김태리는 3년 이상, 허영서 역의 신예은도 1년 넘게 소리를 연마했다. 김태리가 ‘자명고’의 군졸1 단역으로 열창한 적벽가의 ‘군사설움’은 폭발적인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기존 녹음본을 다 엎고 재녹음을 해 완성도를 끌어올렸다.

2019년부터 3년간 원작 웹툰(글 서이레, 그림 나몬)을 연재한 두 작가는 6일 서울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웹툰으로 구현할 수 없는 소리와 춤이 온전히 표현돼 감동이 더욱 컸다”(서 작가)면서 “원작과 다른 극중극 무대의 미술과 연출, 아름다운 음악에 감탄했다”(나 작가)며 흡족해했다.

서 작가는 “웹툰에서도 극중극을 통해 각 인물들이 성장해 나가도록 이야기를 짰다”며 “‘자명고’를 통해 영서는 라이벌 정년이의 연기를 살피게 되고, 정년이는 극 전체를 이해할 기회를 얻는다. 앞으로 나올 극중극 ‘바보와 공주’, ‘쌍탑전설’에서도 인물들이 극을 온몸으로 통과하면서 무엇을 얻어 낼지 기대해 달라”고 했다.

춘향전과 자명고가 극중극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서 작가는 “춘향전은 누구나 아는 이야기지만 여성국극의 시초인 ‘옥중화’의 모태이기도 해 시청자들에게 여성국극을 알리는 최적의 작품이었다”며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설화는 드라마적 요소가 충분해 극중극 아이템으로 눈여겨봤다”고 설명했다.

원작자가 최고로 꼽은 극중극 장면은 ‘자명고’ 도입부. 두 작가는 “호동왕자 역의 정은채 배우가 ‘정녕 태평성대란 말인가’라고 하는 부분이 굉장히 강렬했다”며 “여성 창자가 남성을 연기하는 여성국극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보여 준 장면”이라고 말했다.
2024-11-0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