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대사관이 아니다’ 공연 장면. SPAF 제공
여권 파워가 남다른 한국인 입장에서 대사관은 당연한 존재다. 세계 어디에나 대사관이 있고 현지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언제든 도움을 요청할 수 있기에 대사관이 없다는 것은 적어도 한국인이라면 상상 밖의 영역이다.
지난 22~23일 서울 종로구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선보인 ‘이것은 대사관이 아니다’는 그 당연한 인식을 깨트린 작품이다. 2024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를 통해 소개된 ‘이것은 대사관이 아니다’는 중국의 압박으로 대사관을 갖기 어려운 대만인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그려냈다.
이 작품은 중국의 국공내전에서 패해 장제스와 그를 따르는 무리가 대만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중국과 대만의 역사를 살피는 동시에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대만 사람들이 겪는 오늘의 감정을 전했다. 과거의 틀에 얽매인 외교관과 옛날 일에 대한 인식이 첨예하게 다른 요즘 젊은이의 이야기를 교차해가며 한국 관객들이 몰랐던 대만 이야기를 밀도 있게 담아냈다. 단순히 연극이라고만 하기 어려운, 그야말로 ‘공연’이라는 장르로 표현할 수 있겠는데 서울국제공연예술제라는 이름이 갖는 성격 그대로를 보여준 작품이라 공연장을 가득 채운 관객들의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관객과 시를 낭송한 ‘바이하트’ 공연 장면. SPAF 제공
‘이것은 대사관이 아니다’를 포함해 전 세계에서 온 다양한 작품들로 낯선 감각을 깨운 SPAF가 지난 27일을 끝으로 25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했다. 올해는 16개의 공연, 워크숍, 창작랩 등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관계자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국제 축제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만석을 이뤘던 ‘이것은 대사관이 아니다’는 물론 다수의 프로그램이 매진 행렬을 이뤄 평균 객석 점유율 83%를 기록하며 공연이 넘쳐나는 10월 행사 중에서도 남다른 인기를 자랑했다.
올해 SPAF는 ‘새로운 서사:마주하는 시선’을 주제로 사회·문화적으로 주변부에 머물렀던 서사, 특히 아랍과 이슬람, 아시아 태평양의 지리정치학적 시선, 여성과 비인간의 시선, 탈식민주의적 시선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들이 무대를 채워 의미를 더했다. 중동 여성의 서사를 현대 오페라로 풀어낸 ‘우먼, 포인트 제로’, 테러리즘에 대한 질문을 던진 ‘뮤지엄’, 즉석에서 참여한 10명의 관객과 한국어로 소네트를 낭송하고 함께 시를 외우는 모습을 보여준 ‘바이 하트’ 등 국내 공연계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작품들이 관객들에게 새로운 세계를 열어줬다.
기술·과학과 공연의 접점에 대한 고민을 보여준 ‘사운드랩’. SPAF 제공
또한 예술과 기술·과학의 접점을 찾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공연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과학을 보여줬다. 이 밖에 요즘 가장 뜨거운 이슈인 기후 문제를 다루는 워크숍 등 단순히 공연 축제를 넘어 시대에 필요한 의미 있는 고민도 나눴다.
최석규 SPAF 예술감독은 “축제는 다양한 가치가 충돌하며 공존하는 시대 속에서 다양한 예술가들의 목소리를 들려주고 미학적 실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이번 축제에서는 여성, 젠더, 장애, 기술 등 잘 들리지 않았던 이야기를 무대에 올림으로써 동시대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김장호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는 “올해 SPAF는 세계 국제공연예술 축제 관계자들의 네트워크의 장이자 세계 축제로 발돋움하기 위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앞으로도 축제를 아끼는 많은 분의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