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연사진. 국립극단 제공
인류는 어디로 가는 걸까. 어디로 가는 게 맞는 걸까.
짧은 질문이지만 정답을 쉽게 말할 수 없는 어려운 물음이다. 중세 유럽으로 한정하자면 신이 창조한 질서에 맞춰 사는 것이 인류의 지향점이겠으나 지금은 아마도 인공지능(AI)을 향해 가는 듯하다. AI를 통해 극도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갖춰진 세계가 된다면 인간은 더 행복해질 수 있을까. 이 또한 정답을 확신할 수 없는 난감한 질문이다.
인류의 미래가 불분명한 지금, 국립극단 ‘창작공감: 작가’의 선정작인 ‘모든’은 AI가 지배하는 세상에 대해 묻는다. 자본과 기술이 AI에 몰두해가는 지금 과연 그 방향이 옳은지, 그 세계에서 인간은 행복할 수 있는지를 살폈다.
‘모든’은 오류를 최소화하고 우연을 통제하려는 디스토피아 세계 속에서 초인공지능 ‘라이카’의 보호를 받는 소수의 살아남은 인간들의 모습을 그려냈다. 신효진 작가가 ‘인간이 꿈꾸던 완벽한 세계는 과연 존재할까?’라는 질문과 함께 생성형 AI, 머신러닝 알고리즘 등 AI 관련 지식을 집요하게 고민하며 지난 1년간 심도 있는 개발 과정 끝에 탄생했다.
열다섯 살이 된 ‘랑’은 인간의 도시를 돔으로 구획해 보호하는 A구역에서 라이카의 통제하에 생물학적 엄마 ‘미무’와 함께 살고 있다. 라이카가 키운 아이나 다름없는 랑은 A구역에 기여하고 쓸모 있는 존재가 되는 생산가능인구로 거듭나기 위해 라이카와의 커넥팅 시술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갑자기 나타난 정체불명의 식별 불가능 개체인 노인 ‘페’를 만나면서 전혀 예측하지 못한 모험을 하게 된다.
‘모든’ 공연사진. 국립극단 제공
디스토피아적인 세계를 그린 작품답게 무대의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어둡다. 라이카는 이런 세계에서 인간이 최적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다. 유전자 가위처럼 섬뜩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라이카라는 이질적인 존재로 구현됐지만 일상생활에서 불확실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각종 기술, 애플리케이션 등을 생각하면 존재감이 확 와닿는다.
오차라고는 용납할 수 없는 단단한 틈을 비집는 페는 랑에게 인간성을 일깨운다. 커넥팅 시술을 받으면 두 글자 이름이 되는데 이름이 한 글자인 점으로 미루어 페가 시술을 거부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랑은 페를 통해 기존에 알던 세계에 균열을 내고 자기 인생을 모색하게 된다.
작품 바깥까지 확장해서 보면 페는 AI 세상을 향해 폭주해가는 시대에 사라져가는 인간성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존재다. 페가 관객들에게까지 직접 정답을 주진 않지만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무엇을 통해 행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게 만든다. 누구 하나 제동 걸지 않고 AI를 향해 달려가는 시대인지라 우리가 너무 당연하게 그게 인류의 지향점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닐지, ‘모든’은 우리가 지금 살아가는 돔에서 벗어나 보도록 낯선 감각을 일깨운다.
‘모든’ 공연사진. 국립극단 제공
“이 이야기가 꼭 미래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출발했다. 어쩌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존재하는 모두가 자신이 살아가는 세상이 전부라고 믿고 있다면 그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고민했다”는 김정 연출의 말대로 미래 세계를 그렸지만 지금을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랑은 2024년 국립극단 시즌 단원으로 활동 중인 배우 강민지가, 페는 다양한 작품에서 관록의 연기 내공을 보여주는 이미숙이 맡았다. 페와 대척점에 선 존재인 라이카로는 국립극단 시즌 단원 이상은이 출연한다.
27일까지. 서울 종로구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