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속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몸짓

기후위기 속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몸짓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5-24 08:44
수정 2024-05-24 08: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가림다댄스컴퍼니 제공
가림다댄스컴퍼니 제공
창단 44주년을 맞은 가림다댄스컴퍼니가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다룬 현대무용으로 찾아온다.

가림다댄스컴퍼니는 25~26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Garimda revolution_5zone’(가림다 레볼루션 오존)을 선보인다. 1980년 창단 후 한 해도 정기공연을 거르지 않은 가림다댄스컴퍼니가 올해는 지구온난화 속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이야기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공연은 최재혁 대표와 함께 가림다댄스컴퍼니의 기대주 안무가인 박종현, 권민찬, 정윤정이 공동안무로 참여했다. 현재 인간에 의해 급속도로 변화하는 기후 문제를 무대 위에서 다룬다. 가림다댄스컴퍼니는 “환경에 대한 동시대적인 담론을 양산하는 한편 인간의 이기심과 욕망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과 자연과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가림다댄스컴퍼니 제공
가림다댄스컴퍼니 제공
작품은 1장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2장 ‘+2℃’, 3장 ‘This warmld’로 구성됐다. 1장에서는 지구의 생명체로서 관계를 맺고 의미를 부여해 살아감으로써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임을 보여줄 예정이다. 2장은 더 이상 물러설 곳 없는 2℃의 위기 앞에 인류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2부에서 다뤄지는 3장은 ‘Uncontact’, ‘지구의 역습’, ‘따뜻한 지구’로 이뤄졌다. 기후변화의 역사를 돌아보며 최근 수없이 나타나는 기상이변, 지구의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진 시대에 대한 고민을 몸짓으로 풀어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