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궁자궁과 AI작가의 시대…2033년 인류의 일상은

인궁자궁과 AI작가의 시대…2033년 인류의 일상은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5-18 10:02
수정 2024-05-18 1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직접 임신하지 않아도 아이를 낳을 수 있다면 한국 사회가 그토록 고민하는 출산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까. 완벽한 인공자궁이 개발되면 인류는 또 한단계 진일보할 수 있을까. 쉽게 답할 수 없는 물음이지만 기술 발전 속도가 엄청난 요즘 그저 먼 미래의 일이겠거니 치부할 수 없는 문제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조차 못 했던 각종 인공지능(AI)이 이제는 인류와 어떻게 공존할지 모색해야 하는 시대다. AI는 인간의 역할과 자리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창작물의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연극 ‘거의 인간’은 다양한 AI의 활용 중에서도 AI작가와 인공자궁을 다뤄 많은 생각거리를 던진다.<br>

작품의 배경은 지금으로부터 9년 뒤인 2033년. 작가인 수현과 발레리나인 재영은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변화하는 예술계에서 창작자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AI 작가 지아의 집필을 돕기로 하고 일을 맡은 수현, 인공 자궁을 활용해 발레리나서의 삶과 예비 엄마로서의 삶을 동시에 일궈가는 재영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거의 인간’은 제목처럼 거의 인간에 가까운 AI가 인간의 삶에 다가온 현실을 그저 허무맹랑하게만 그리지 않는다. AI가 지금보다 훨씬 더 넓은 영역을 차지했을 때 벌어질 수 있는 문제를 예민하고 예리하게 파고든다. 극단 미인이 직접 관련 업계 사람들을 만나 연구를 진행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작품에 녹여내면서 탄탄한 구조를 완성해냈다.
이미지 확대
국립정동극장 제공
국립정동극장 제공
인간의 의도를 순식간에 파악해 집필함으로써 저작권 분쟁을 애매하게 만들고 스스로의 독립성을 주장하는 AI작가와 가혹한 스트레스에 인공 임신 상태를 스스로 손쉽게 중단해버리는 재영의 모습은 먼 이야기 같으면서도 가까운 미래에 충분히 마주할 수 있는 풍경이라는 점에서 꽤 현실적이고 무겁게 다가온다. 수현이 “어떻게 누구나 작가가 되느냐” 반발하지만 작품이 다루려는 주제는 이미 현실에서도 벌어진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다.

AI를 소재로 한 작품답게 ‘거의 인간’은 무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선보이면서 생생함을 더했다. 수현과 대화하는 지아가 실제 존재하는 사람처럼 느낄 수 있게 영상과 목소리로 등장하고 변호사가 사건 내용을 파악하고 승소 확률을 따질 때도 영상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은 작품을 실제 2033년의 이야기처럼 만드는 장치로 작용한다.

김수희 연출가가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출산이나 노동에서 해방되게 된다면 인간은 무엇을 추구하게 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게 됐다”고 했던 말처럼 작품을 통해 관객들은 깊은 사유를 경험하게 된다. 예술과 기술이 결합한 세상에서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존엄과 존재의 의미를 곱씹어보게 하면서 인간이 조만간 겪어야 할 숙명에 대해 정면으로 바라보게 하는 작품이다.

주제가 주제이니만큼 심오할 것 같지만 재밌는 게 무엇보다 연극으로서 큰 매력이다. 22일까지. 서울 중구 국립정동극장 세실에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