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게 죄인 삶일지라도…이야기가 건넨 따뜻한 위로

사는 게 죄인 삶일지라도…이야기가 건넨 따뜻한 위로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4-10 05:00
수정 2024-04-10 05: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컴퍼니 제공
홍컴퍼니 제공
현실이 고단할수록 이야기는 사람들의 마음을 깊게 위로한다. 사람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이야기를 통해 현실의 부조리함을 견뎠고 그것으로 살아갈 힘을 얻곤 했다.

청나라가 쳐들어온 병자호란 이후를 살았던 세 여인이 그랬다. 환향녀라는 달갑지 않은 이름은 이들의 삶 자체를 죄로 만들었고 세 여인은 빛 한 줌 들지 않는 동굴에 숨어 하루하루를 견뎠다. 지난한 현실을 위로하고 살아갈 수 있게 했던 건 이들이 써 내려간 이야기였다.

올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산실에 선정된 창작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작자 미상의 ‘박씨전’을 소재로 상상력을 발휘한 작품이다. 17세기 병자호란 이후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손가락질당하는 가은비, 매화, 계화가 피화당이라 이름 지은 동굴 속에 숨어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영웅 소설인 ‘박씨전’을 써 내려간다는 판타지를 그렸다.
이미지 확대
홍컴퍼니 제공
홍컴퍼니 제공
화를 피해 머무르는 곳이라는 뜻인 ‘피화당’(避禍堂)은 ‘박씨전’에서 박씨가 추한 외모 때문에 자신을 박해하는 남편을 피해 머문 초당의 이름이기도 하다. 세 사람은 화를 피해 어두운 동굴에 숨어 살고 가은비는 촛불에 의지해 사랑 이야기를 쓴다. 남장을 한 매화는 저잣거리에 나가 이야기를 팔고 계화는 허드렛일을 도맡아 함께 살아간다.

가은비의 이야기는 저잣거리에서 큰 인기를 얻고 선비 후량이 이름 없는 작가 선생에게 자신의 글을 의뢰하기로 결심하고 작가를 찾아 나선다. 이들을 만난 후량이 글을 부탁하면서 ‘박씨전’이 탄생하게 된다.

극중극으로 펼쳐지는 ‘박씨전’은 멸시받던 세 여인의 팍팍한 현실을 상상으로나마 이겨내게 해준다는 점에서 묘한 희열이 있다. 작품은 ‘박씨전’을 단순히 보여주는 것에서 나아가 상상력을 발휘해 소설이 탄생했던 시대 배경과 그 의미를 오늘날의 관객들에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마음을 사로잡는다. 재밌자고 만든 뮤지컬이지만 “사는 게 죄가 되는 나라가 대체 어딨어”라는 날카로운 절규는 시대를 관통하는 묵직한 메시지를 던진다.
이미지 확대
홍컴퍼니 제공
홍컴퍼니 제공
시대 배경에 맞춰 판소리, 부채, 탈 등을 활용하고 여기에 퓨전 음악의 묘미를 제대로 살려 과거와 현재를 잘 어우러지게 만든 게 큰 매력이다. 복층 구조로 공간감을 살려 무대 활용도를 넓힌 덕에 이야기의 입체성도 풍부하게 다가온다.

작품의 배경으로부터 약 400년이 흘렀지만 주인공들이 이야기를 통해 견뎌낸 억압과 차별은 오늘날에도 큰 위로를 준다. 이들의 단단한 연대를 지켜보고 응원하다 보면 관객들도 어둡고 고단한 삶일지라도 언젠가 반짝이며 살아갈 용기와 힘을 얻게 된다. 추운 계절이 지나면 화사하게 꽃이 피어나듯 겨울이 지나 봄을 맞는 계절에 딱 어울리게 피어난 작품이다.

오는 14일까지. 서울 종로구 플러스씨어터에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