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후 관객들에게 인사하는 크리스티안 테츨라프(앞줄 왼쪽)와 한누 린투(오른쪽). 류재민 기자
지난해 리사이틀과 협연자로 한국을 찾았던 크리스티안 테츨라프가 올해도 다시 한국을 찾아 브람스의 곡으로 황홀한 낭만을 선사했다.
테츨라프는 5~6일 서울시립교향악단과 ‘크리스티안 테츨라프의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무대를 꾸몄다. 2019년 서울시향 ‘올해의 음악가’로 활동한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테츨라프가 오랜만에 서울시향과 함께하는 자리였다. 지휘자로는 2017년 서울시향과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번을 연주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던 핀란드 국립 오페라 및 발레단 수석 지휘자이자 포르투갈 굴벤키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인 한누 린투가 나섰다.
1부는 빛나는 색채와 오묘하고 환상적인 이미지를 음악으로 전환하는데 능숙한 핀란드 작곡가 카이야 사리아호의 ‘겨울 하늘’로 문을 열었다. 이 작품은 사랑하는 여인이 쏜 화살에 맞고 죽은 뒤 겨울 밤하늘에 가장 큰 별자리가 된 오리온 신화를 바탕으로 한다. 겨울이면 해가 극도로 짧아지고 눈보라가 흔하게 몰아치는 핀란드 특유의 이국적인 분위기가 음악으로 표현돼 신비로움이 가득했다.
이어 테츨라프가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의 협연자로 나섰다. 이 곡은 브람스가 전성기에 내놓은 걸작이자 그의 생애에 걸쳐 단 하나뿐인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베토벤, 멘델스존의 협주곡과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불린다.
테츨라프의 연주는 세월과 함께 더 부드럽고 따뜻해졌다는 평을 받는다. 아내가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머리를 길렀을 정도로 애처가인 그가 지금의 아내를 만난 후 생긴 변화다. 오리온 못지않은 사랑꾼인 테츨라프의 이런 연주 스타일은 정열적이면서 아름답고 따뜻한 낭만의 정서가 가득한 브람스의 곡과 잘 어우러지며 완벽한 시너지를 냈다. 한국에 꽤 자주 오는 연주자 축에 속하는 그의 이번 무대는 최근 연주 중 가장 훌륭했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깊은 감동을 줬다.
한누 린투와 서울시향 단원들이 공연 후 인사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공연의 대미는 쇼스타코비치 최후의 교향곡 15번이 장식했다.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중 가장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작품으로 19세기 오페라 작곡가 로시니와 바그너를 비롯해 자신의 초기작을 대거 인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한 혁신적인 작품이다.
린투는 악장마다 번뜩이는 재치가 돋보이는 곡을 자세히 들려주며 작품의 매력을 살렸다. 비록 다리 부상으로 앉아서 지휘해야 했지만 구석구석 단원들을 세밀하게 살피며 열정을 발휘했다. 오페라의 선율들과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7번과 닮은 파사칼리아 주제가 강력한 클라이맥스로 이끈 뒤 불협화음의 침입으로 불안하면서도 조용하게 작품이 막을 내리자 객석에서는 힘찬 박수가 쏟아져나왔다.
7일 테츨라프와 함께 실내악 공연도 마친 서울시향은 오는 13일 ‘리처드 이가의 모차르트와 하이든’과 14일 실내악 시리즈로 찾아온다. 25일에는 예술의전당 기획공연인 ‘외르크 비트만&서울시립교향악단’ 무대에 설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