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무한 세상에서 왜 영화 찍냐고? 누군가는 이걸로 삶을 바꾸니까!”

“허무한 세상에서 왜 영화 찍냐고? 누군가는 이걸로 삶을 바꾸니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10-29 23:40
수정 2023-10-29 23: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년들’ 개봉 앞둔 정지영 감독

소년 3명 강도 살인 누명에 투옥
1999년 삼례나라슈퍼 사건 다뤄

‘공공의 적’ 설경구, 수사반장 적임
절망 속 희망 찾아 허무주의 극복

이미지 확대
정지영 감독이 연출한 ‘소년들’은 17년 만에 누명에서 벗어난 세 소년의 이야기를 다룬다. 사건의 진실을 좇는 수사반장 역의 설경구에 대해 정 감독은 “조직과 싸우는 배짱 있고 거침없는 인물로 ‘공공의 적’(2002) 주인공 강철중이 떠올랐다”며 그를 염두에 두고 시나리오를 썼다고 했다. CJ ENM 제공
정지영 감독이 연출한 ‘소년들’은 17년 만에 누명에서 벗어난 세 소년의 이야기를 다룬다. 사건의 진실을 좇는 수사반장 역의 설경구에 대해 정 감독은 “조직과 싸우는 배짱 있고 거침없는 인물로 ‘공공의 적’(2002) 주인공 강철중이 떠올랐다”며 그를 염두에 두고 시나리오를 썼다고 했다.
CJ ENM 제공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돌아보고, 옳지 않았던 일에 분노하는 데 실화가 가장 좋은 소재다. 그래서 실화에 자꾸 천착하는 거 같다.”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하는 영화를 만들어 온 정지영(75) 감독이 신작 ‘소년들’로 오는 11월 1일 관객들과 만난다. 3명의 소년이 강도 살인자로 몰려 억울한 옥살이를 했던 1999년 삼례나라슈퍼 사건을 영화화했다.

정 감독은 한국 현대사의 주목할 사건들을 꾸준히 영화로 옮겨 왔다. 부당 해고를 당한 교수가 사법부를 상대로 벌인 사투를 소재로 한 ‘부러진 화살’(2012), 외환은행 헐값 매각 사건에 관여한 정부 관리들을 고발하는 ‘블랙머니’(2019)도 이런 사례다.

그는 부조리를 들춰내는 영화를 계속해서 만드는 이유에 대해 “내 영화가 반드시 정의라고 진단하지는 않는다. 정의란 사람에 따라, 환경과 세계관에 따라 다르다”며 “나는 영화를 만들어 내 생각을 보여 주고 관객과 내 생각이 맞는지 토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영화는 전북청 수사반장 황준철(설경구)이 제보 전화를 받은 뒤 우리슈퍼 강도치사 사건 재수사에 나서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렸다. 준철은 잘못된 수사를 바로잡고자 고군분투하고 급기야 사건 진범까지 찾아내지만 사건 책임자들의 방해로 좌천당한다. 16년 뒤 준철 앞에 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였던 윤미숙(진경)과 소년들이 다시 찾아오고 준철은 그들과 함께 재심을 준비한다.
이미지 확대
정지영 감독
정지영 감독
실화를 소재로 했지만 주인공 황준철은 존재하지 않는 캐릭터다. 오랜 기간 이어진 복잡한 이야기를 조금 쉽게 설명하려면 힘 있게 끌고 갈 사람이 필요했기에 탄생했다. 정 감독은 2000년 있었던 약촌오거리 살인 사건 재심에서 큰 역할을 한 당시 파출소장 황상만씨를 빌려 황준철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황 반장 역을 배우 설경구가 맡았기에 영화 ‘공공의 적’(2002)의 주인공 강철중을 떠올릴 법하다. 정 감독도 “‘공공의 적’에서 날뛰던 그가 반장이 됐을 때 어떤 모습일까 떠올리며 시나리오를 썼다”고 소개했다. “2000년 재수사 과정과 2016년 재심 과정을 오가며 나이 든 파출소장 역할도 함께 해야 했다. 이미지가 다소 겹치는 느낌도 있었지만 그 변화를 녹일 수 있는 배우로 설경구가 적임이었다”고 했다.

올해 데뷔 40년째, 꾸준히 영화를 만드는 이유를 묻자 “나는 허무주의자였다”는 답이 돌아온다. “우리 사회가 앞으로 나아질까 고민해 봤는데, 아무리 봐도 나아질 거 같지 않았다. 이런 사회라면 살아서 뭐 하겠나, 차라리 죽는 게 낫지 싶었다”며 “그동안 영화를 만들며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있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래서 그의 영화는 항상 희망을 제시한다. “‘블랙머니’에서도, ‘부러진 화살’에서도 주인공이 모두 졌다. 그러나 그들은 굴하지 않는다. 희망을 품고 부조리한 사회를 적극적으로 살아가는 것, 그게 바로 내 삶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어떤 의사가 베트남전을 소재로 한 ‘하얀 전쟁’(1992)을 보고 ‘영화를 보고 삶이 바뀌었다’고 하더라. 미약하게나마 내 영화가 사람들을 변화시킬 수 있구나, 영화의 힘이 이런 거구나 싶었다. 그래서 아마 죽기 전까진 영화를 계속 만들 듯하다.”
2023-10-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