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영화, 따로 또 같이 그리다… 삶과 죽음 사이 어딘가, 무주 [지금, 이 영화]

두 영화, 따로 또 같이 그리다… 삶과 죽음 사이 어딘가, 무주 [지금, 이 영화]

입력 2022-09-25 19:54
수정 2022-09-26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달이 지는 밤

무주산골영화제 위한 옴니버스
유령을 공통분모로 한 두 이야기
지방 소멸 막아야 하는 이유도
이미지 확대
무주를 떠난 사람들과 남은 사람들, 다시 돌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새로운 방식으로 그린 영화 ‘달이 지는 밤’. 1부는 엄마와 딸 사이의 현실적인 갈등을 그린다. 디오시네마 제공
무주를 떠난 사람들과 남은 사람들, 다시 돌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새로운 방식으로 그린 영화 ‘달이 지는 밤’. 1부는 엄마와 딸 사이의 현실적인 갈등을 그린다.
디오시네마 제공
이미지 확대
무주를 떠난 사람들과 남은 사람들, 다시 돌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새로운 방식으로 그린 영화 ‘달이 지는 밤’. 2부는 취업과 로맨스를 중심으로 애도와 생활이 결합된 형식을 취한다. 디오시네마 제공
무주를 떠난 사람들과 남은 사람들, 다시 돌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새로운 방식으로 그린 영화 ‘달이 지는 밤’. 2부는 취업과 로맨스를 중심으로 애도와 생활이 결합된 형식을 취한다.
디오시네마 제공
꽤 많은 영화제가 한국에서 열린다. 그중 빼놓으면 섭섭한 영화제 가운데 하나가 2013년부터 개최된 무주산골영화제다. “누군가는 이 시골에서 무슨 영화제냐고 했고, 누군가는 얼마 되지 않아 없어질 거라 했고, 다른 누군가는 도대체 누가 여기까지 영화를 보러 오겠냐고 했으며, 또 다른 누군가는 대관절 무주는 어디 붙어 있는 데냐고 묻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산골 무주에서 완전히 새로운 영화제를 상상했다.”(2022년 기획의 말) 그 말처럼 무주산골영화제는 ‘새로운 영화제를 상상’하는 흥미로운 기획을 적잖이 내놓았다. ‘달이 지는 밤’도 그렇게 해서 탄생한 영화다.

무주산골영화제는 김종관과 장건재, 독립 영화계에서 두각을 나타낸 두 감독에게 협업을 제안했다. ‘달이 지는 밤’의 두 가지 틀도 협의됐다. 하나는 공간적 배경을 전북 무주군으로 한다는 것, 다른 하나는 주제를 공유한 옴니버스 작품을 만든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작품은 상영 시간 30분이 조금 넘고 느슨한 연결 고리가 있는, 단편 영화 두 편의 모음이 됐다. 겨울 무주를 다룬 1부는 김종관, 여름 무주를 다룬 2부는 장건재가 만들었다. 이들의 공통분모는 유령이다. 공포 영화를 염두에 둔 설정은 아니다. 유령이 나오는 이야기를 한다는 뜻은 삶과 죽음, 그리고 양자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탐색한다는 말이다.

1부는 애도와 무속이 결합된 형식을 취한다. 대사가 거의 없다는 점도 특징이다. 김종관은 설명하기보다 보여 주려 애쓴다. 친절한 방식은 아니다. 딸 영선(안소희)이 죽은 이유를 알 수 없고, 엄마 해숙(김금순)이 어째서 산을 헤매는지도 불투명하다. 방울 소리 등이 암시하는 바도 관객이 적극적으로 해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2부는 애도와 생활이 결합된 형식을 취한다. 취업과 로맨스가 부각되는 까닭이다. 초반에는 공무원 시험에 붙어 무주에서 일하는 민재(강진아)와 공무원 시험에 떨어져 힘들어하는 경윤(한해인)의 대화 장면이 나온다. 그러다 경윤이 종적을 감추고, 민재와 태규(곽민규)의 연애가 이어진다.
이미지 확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두 작품을 아우르는 ‘달이 지는 밤’이라는 제목에 대해 장건재는 이렇게 덧붙였다. “두 이야기 모두 하룻밤 혹은 이틀 밤 동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달이 지는 시간, 깊은 새벽, 깊은 밤에 이야기들이 품고 있는 비밀, 그것들이 드러나는 순간을 묘사하는 제목이라고 생각”한다고. 그렇다고 낮의 풍경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고추밭에서 고추를 따고, 동네 가게나 전통시장에서 물건을 사는 심상한 광경이 눈길을 끈다. 대다수 관객에게 낯설 무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도 덕분에 줄어든다. 이 영화는 저마다의 사연과 공동체의 역사가 녹아 있는 지역에 존중감을 표한다. 인구 감소 위기 속에서 수도권만 비대해지는 오늘날, ‘달이 지는 밤’은 왜 지방이 소멸해서는 안 되는가도 조용히 역설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2022-09-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