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엄마도 되지[지금, 이 영화]

돼지, 엄마도 되지[지금, 이 영화]

입력 2022-07-10 17:48
수정 2022-07-11 02: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군다

이미지 확대
영화‘군다’
영화‘군다’
돼지냐, 소냐, 닭이냐. 이 말을 듣고 회식 메뉴로 무엇을 고를까 하는 생각밖에 떠오르지 않는다면 당신에게 이 영화는 충격으로 다가올 것이다. 다큐멘터리 영화 ‘군다’는 돼지와 소와 닭이 맛있는 고기이기 이전에 고유한 생명체였음을 일깨우기 때문이다. 보나마나 뻔한 이야기를 그럴싸하게 늘어놓는다고 예상할지도 모르겠다. 그렇다. 짐작대로 모든 존재가 귀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이다. 하지만 이를 전달하는 화법이 남다르다. 뻔한 이야기를 그럴싸하게 늘어놓는 게 아니라 생명체가 살아가는 풍경을 가만히 오래 비춘다.

이를테면 새끼들이 어미 돼지의 젖을 찾아 빠는 장면 하나를 몇 분씩 보여 주는 식이다. 다큐멘터리 특유의 내레이션이 없고 배경음악조차 나오지 않는다. 화면도 흑백이다. 다른 데 말고 오직 돼지와 소와 닭이 영위하는 ‘삶’에 주목하라는 감독의 의도다. 카메라는 이들의 눈높이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자주 클로즈업한다. 예컨대 닭이 발을 어떻게 지면에 맞닿게 해 움직이는가를 영상에 담아낸다. 특별한 기교 없는 기교의 특별함이다. 이러한 솜씨는 다큐멘터리 영화계의 거장 빅토르 코사코프스키가 발휘한다. 1990년대부터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어 온 그는 대상과 주제에 맞는 표현법을 적용하는 데 능숙하다.
이미지 확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완성도는 새로운 소재를 얼마나 많이 발굴했느냐보다 무언가를 새로운 시각으로 얼마나 잘 포착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소재의 새로움은 새로운 시각을 담보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반대는 성립한다. 새로운 시각이 소재를 새롭게 탄생시킨다. 낯선 피사체일 리 없는 돼지와 소와 닭은 그렇게 ‘군다’에서 낯설어진다. 영화의 언어가 큰 몫을 차지한다. 인간이 스크린에 등장하지 않는 가운데 관객은 동물의 몸짓과 소리가 그들이 구사하는 언어임을 깨닫는다. 얼굴로 정신없이 날아드는 파리떼를 서로의 꼬리로 쫓아 주는 소들의 모습이 적확한 예다. 소는 미련하지 않다.

돼지를 삼겹살로, 소를 육회로, 닭을 치킨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적잖은 것 같다. 이 작품은 돼지와 소와 닭의 생활 리듬을 천천히 느끼게 하면서 가축이 음식으로만 치환돼서는 안 된다고 전한다. 그 말이 직접 언급되지 않아도 관객은 감응한다. 영화 말미에 갑자기 트랙터가 들이닥쳐 어미 돼지에게서 새끼들을 모조리 빼앗아 가는 순간이 대표적이다. 작별을 준비할 새도 없이 새끼들을 떠나보낸 어미 돼지는 망연자실한다. 새끼들이 있던 자리를 맴돌면서 운다. 그것이 단순한 꽥꽥거림이 아님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당신의 공통 감각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음이 틀림없다.

동물을 먹어서는 안 된다고 훈계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 영화는 다만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조너선 사프란 포어) 우리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넌지시 전언할 뿐이다. ‘군다’는 새끼들을 낳고 키우다 잃어버린 어미 돼지의 이름이기도 하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2022-07-1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