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꺾이지 않아…내 외침을 들어봐

나는 꺾이지 않아…내 외침을 들어봐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01-05 16:46
수정 2021-01-06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헬렌의 음악, 여성들 더 강하게 만들어… 한국 미투운동에도 힘 됐으면”

14일 국내 개봉 영화 ‘아이 엠 우먼’
한국계 문은주 감독 서면 인터뷰
이미지 확대
2017년 영화 ‘아이 엠 우먼’ 촬영 현장에서 제작자 문은주(왼쪽) 감독과 주연 틸다 코브햄허비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국외자들 제공
2017년 영화 ‘아이 엠 우먼’ 촬영 현장에서 제작자 문은주(왼쪽) 감독과 주연 틸다 코브햄허비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국외자들 제공
매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이 되면 축가로 불리는 노래가 있다. 호주 출신 미국 팝 가수 헬렌 레디(1941~2020)가 작사·작곡한 ‘아이 엠 우먼’(I Am Woman)으로, 1972년 빌보드 싱글차트 1위에 올랐다. 헬렌 레디의 삶에는 ‘아이 엠 우먼’이 여성운동의 상징이 되기까지의 시대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 인생을 조명한 영화 ‘아이 엠 우먼’(2019)이 오는 14일 국내에서 개봉한다. 영화를 제작한 이는 미국에서 활약하는 한국계 호주인 문은주(57) 감독이다.
이미지 확대
문은주 감독
문은주 감독
5일 서면으로 만난 문 감독은 “헬렌이 활동하던 1960~1970년대 미국은 여성들이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를 발급받거나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던 시절이었지만, 헬렌은 처음으로 이 두 가지를 모두 쟁취한 인물”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의 음악은 여성들을 더 강하게 만들었다”며 “그의 인생은 결국 개인이 아닌 모든 여성의 이야기”라고 제작 동기를 밝혔다.

영화는 세 살 된 딸의 손을 잡고 뉴욕 음반사를 찾아가는 ‘싱글맘’ 헬렌(틸다 코브햄허비 분)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요즘은 남성 그룹의 시대”라는 차별과 편견 속에서 실패를 거듭한다. 포기하지 않은 헬렌은 잠들어 있는 딸을 보며 ‘나는 여자/ 내 외침을 들어봐/ 무시하기에는 우린 너무 커졌지’라는 가사를 쓴다. 이 노래는 당시 차별받는 여성들의 심정을 웅변했고, 수많은 여성운동 현장에서 제창됐다.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네 살 때 호주에 이민 간 문 감독도 이 곡을 들으며 자랐다. 영화를 제작하면서 어려움에 부딪힐 때마다 ‘나는 강해/ 나는 꺾이지 않아’라는 헬렌의 노랫말을 떠올렸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영화 ‘아이 엠 우먼’ 스틸 컷. 국외자들 제공
영화 ‘아이 엠 우먼’ 스틸 컷.
국외자들 제공
문 감독은 “2013년 한 모임에서 헬렌과 동석한 이후 친구 사이가 됐다”면서 “헬렌의 이야기가 1970년대 여성운동과 밀접하게 얽혀 있음에도 그를 다룬 영화나 다큐멘터리가 하나도 없어서 놀랐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여성의 권리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영화에서도 다뤘지만 성별에 상관없이 모든 미국 시민에게 동등한 법적 권리를 보장한다는 양성평등 헌법 수정안은 1982년 부결된 뒤 폐기됐다.

문 감독은 “미국에서 첫 여성 대통령이 탄생할 때 이 영화를 개봉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는데, 오히려 미국 정치 지도자들은 여성운동을 촉발시켰다”며 사회적 약자에 대해 차별적 언행을 일삼아 온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2017년 워싱턴 시위 당시 한 여성이 가사 ‘내 외침을 들어봐’(hear my roar)라고 적힌 푯말을 든 순간 여전히 여성들을 위해 할 일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면서 “이 영화가 현재 한국에서 여성들이 이뤄 내는 ‘미투 운동’에도 힘이 되길 바란다”는 응원을 보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1-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