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바람과 찾아온 ‘비엔날레’
창원 곳곳에 수평성 살린 조각 전시광주 판소리 주제로 30국 작가 집합
부산 해적 계몽주의·불교 의제 결합
제주 예술적 관점에서 ‘표류’ 재해석
창원조각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성산아트홀의 모습.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가을의 시작과 동시에 찾아온 창원조각비엔날레부터 가을 끝자락에 선보이는 제주비엔날레까지 2년마다 열리는 비엔날레의 잇단 개막으로 올가을이 풍성하다. 기후위기, 여성, 이주, 난민 등 각 비엔날레의 열쇠말에 주목하면 작품을 더 깊게 감상할 수 있다.
창원조각비엔날레는 김혜순 시인의 시 ‘잘 익은 사과’의 한 구절에서 따온 ‘큰 사과가 소리 없이’를 주제로 45일간 16개국 63팀 국내외 작가의 작품 177점을 선보인다. 사과 껍질이 나선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처럼 동시대 조각의 수평성, 여성과 노동, 도시의 역사와 변화, 공동체의 움직임 등 네 개의 키워드로 작품을 연결한다.
지난 2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시원 비엔날레 예술감독은 “나선형 시간을 표현하는 사과 껍질의 움직임처럼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예술가와 시민이 도시와 조각, 다양한 감각 안에서 만나며 스스로 길을 내고 연결된다”고 말했다.
계획도시 창원의 방사형 도로 중심에 있는 성산아트홀 대형 유리창에는 홍승혜 작가가 ‘모던타임즈’란 작품을 구현했다. 그의 시트 드로잉은 건물 안팎에서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색다른 장면을 만들어 내면서 공업도시 창원의 시간을 되돌아보게 한다. 성산패총에서는 최고은 작가의 작품 ‘에어록’을 선보인다. 성산패총은 1973년 창원기계공업단지 조성 공사 당시 발견된 철기시대 조개무덤이다. 산업화의 상징인 스테인리스스틸을 이용한 용수철 모양의 작품 뒤로는 공업단지 굴뚝이 솟아 있는 창원의 전경이 겹친다.
이 밖에 창원복합문화센터(동남운동장),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에서도 전시가 이어진다. 비엔날레는 11월 10일까지 계속된다.
광주비엔날레 본전시관의 모습. 프랑스 출신 작가인 마르게리트 위모의 ‘휘젓다’ 등의 작품이 전시돼 있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앞서 개막한 광주비엔날레와 부산비엔날레는 그 열기가 한창 무르익고 있다. 지난 7일 시작된 광주비엔날레는 ‘판소리, 모두의 울림’을 주제로 본전시관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시립미술관 등에서 진행 중이다.
스타 큐레이터인 니콜라 부리오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은 한국 전통음악 장르인 ‘판소리’의 열린 공간성, 그동안 객체였던 관객, 자연, 환경 등이 주체가 되는 현장에 집중했다. 30개국에서 모인 작가 72명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기후변화로 위기에 놓인 지구와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을 표현한다.
본전시 외에 올해 최대 규모로 마련된 파빌리온(국가·기관 전시관)은 다층적인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필리핀, 미얀마, 독일, 캐나다 등의 31개 파빌리온이 마련돼 있다.
부산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부산현대미술관에 나탈리 무차마드의 설치 작업 ‘엔리케’가 전시돼 있다. 엔리케는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노예이자 통역사였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지난달 17일 닻을 올린 뒤 순항 중인 부산비엔날레는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근현대역사관 금고미술관 등 4곳의 전시장에서 오는 10월 20일까지 36개국 62개 팀(78명)의 작가가 349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해적계몽주의’와 ‘불교의 깨달음’이라는 독특한 의제가 눈길을 끈다.
오는 11월 26일 개막하는 제주비엔날레에 참여하는 양쿠라 작가의 작품. 그는 대마도에서 발견되는 제주발 쓰레기에 관한 이야기를 꺼낸다.
제주도립미술관 제공
제주도립미술관 제공
가을의 끝자락인 오는 11월 26일에는 제주비엔날레가 찾아온다. ‘이파기 표류기: 물과 바람과 별의 길’이란 제목이 붙은 이번 비엔날레의 화두는 ‘표류’다. 문명의 여정 속 표류가 우리의 인식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조명하고 이를 예술적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14개국 40개 팀의 작품을 만나 볼 수 있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등에서 펼쳐지는 비엔날레는 내년 2월 16일까지 진행된다.
2024-09-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