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작가 우고 리가 26일 서울 용산구 유엔빌리지 3길 비선재에서 개막한 ‘픽킹 플라워즈’ 전시회 작품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일상에서 느낀 감정과 기억, 꿈 등을 캔버스에 표현했습니다.”
프랑스 파리를 기반으로 유럽에서 활동하는 떠오르는 신예작가 우고 리(Ugo Li·37)는 26일 서울 용산구 유엔빌리지 3길 비선재에서 개막한 ‘픽킹 플라워즈’(Picking Flowers) 전시회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전시회는 오는 10월31일까지 열리며, 비선재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예약·관람할 수 있다.
중국계 화가인 아버지와 프랑스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우고 리는 2011년 프랑스 예술의 산실인 에콜 데 보자르(École des Beaux-Arts)를 졸업한 뒤 화가와 모델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화가에 전념해 유럽 주요 갤러리와 아트페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우고 리는 일상의 소재에 시적인 숨결을 불어 넣는 작가로 거칠고 빠르며 역동적인 붓질로 따뜻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다음은 일문일답.
프랑스 작가 우고 리가 26일 서울 용산구 유엔빌리지 3길 비선재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우고 리와 함께 작업을 하고 있는 친구 마리다.
- 한국에서 전시회를 하게 된 계기는.
“지난해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는데 비선재 갤러리를 운영하는 장낙순 회장이 우연히 전시회를 방문했다. 장 회장과 작품에 대한 이야기했는데 처음 만났지만 가족처럼 따뜻한 느낌을 받았다. 이런 인연으로 지난 4월 비선재에서 저를 한국으로 초청했고, 그때 많은 대화를 나누며 한국에서 9월에 전시회를 열기로 결정한 것이다. 프랑스로 돌아간 뒤 이번 전시회를 위해 쉬지 않고 계속 그림을 그렸고, 그래서 이번 전시회가 마련됐다.”
- 작품 활동은 언제 시작했나.
“사람들이 언제부터 그림을 그렸느냐고 물으면 그림 그리는 것을 한번도 멈춘적이 없다고 답한다. 제 인생의 첫 번째 기억이 그림을 그린 것일 정도로 지금까지 계속 그림을 그렸다. 어렸을 때 화가인 아버지가 생일 선물로 그림이나 펜, 종이, 물감 등을 받았다. 작품 활동은 2011년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시작했다. 아르바이트도 주로 그림과 관련된 것을 했다. 특히 코로나 팬더믹 기간 동안 파리 시내와 제 아파트가 봉쇄되면서 하루종일 그림만 그렸던 것 같다. 그때 작품들을 인스타그램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다가 갤러리 사이트를 운영하는 친구 마리를 만나 협업을 시작했다. 마리와 2년 정도 준비해 지난해 10월 파리에서 첫 전시회를 열었다.”
- 전시회 명칭인 ‘픽킹 플라워즈’의 의미는.
“전시회 명칭은 작품을 모두 완성한 뒤에 정했다. 제목을 단순하고 짧게 정하고 싶었는데 작품 대부분에 꽃이 있어 자연스럽게 ‘픽킹 플라워즈’로 정한 것이다. 무엇보다 꽃은 프랑스 예술가이 일종의 유산처럼 많이 다루는 소재인데 저 또한 프랑스 작가로 꽃을 주요 소재로 삼았다. 꽃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캔버스에 표현한 것이다. 하지만 작품 속에 있는 꽃은 어떤 사물을 보고 그린 것이 아니라 내 생각 속에 있는 것을 표현했다. 그림 속에 있는 꽃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꽃일 수도 있고, 제 마음 속에만 존재하는 꽃일 수도 있다. 월요일에 본 꽃이 화요일에 다르게 보이는 것처럼 꽃에서도 무한한 변화가 느껴진다.”
프랑스 작가 우고 리는 대학을 졸업한 뒤 잠시 모델로 활동을 하기도 했다.
- 대학을 졸업한 뒤 잠시 모델로 활동했는데.
“나의 꿈은 매일 그림을 그리는 것이었지만 그림만 그리고 산다는 것은 꿈에 불과하다.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모델은 사실 전혀 예상 못한 상태에서 한 것이었다. 잠시 태국에 살았는데 패션 디자이너를 하던 친구가 패션위크 기간에 패션쇼 모델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이 패션쇼에서 다른 브랜드에서도 같이 일하자는 제안이 오면서 모델로 활동했다. 하지만 파리로 돌아온 뒤에 나의 꿈인 작가로 성공하려면 모든 것을 쏟아 부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델을 그만두고 그림에 더 집중하고 싶었다. 모델 활동이 창의적인 분야이기도 하고 정말 재밌어서 좋았지만 제 목표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었다.”
- 마티스의 초기 회화 구성과 색채를 계승했다는 평가가 있는데.
“그런 평가에 어느 정도 동의 하지만 내 작품이 어떤 화풍이라는 생각을 들게 하고 싶지 않다. 내 그림이 대단한 화가인 마티스의 작품처럼 사람들에게 행복한 느낌을 준다는 것은 너무 기분이 좋은 이야기다. 하지만 나는 그림을 보는 사람들에게 어떤 선입관이나 어떤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작품 속에 낱말이나 문장들을 여러개 배치했는데.
“그림을 그릴 때는 음악을 들으며 친구들과 나눴던 대화 등을 떠올린다.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어떤 영감이 머리 속에서 툭 튀어나와 그림에 표현된다. 때로는 만족스럽지 않은 영감이나 다른 아이디어가 있으면 글을 썼다가 지우기도 합니다. 이는 보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의 스토리텔링을 해주고 싶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작품을 감상하다보면 그림 속에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뜨거운 하기(夏期)의 햇살’(Hot Summer Chronic Sunshine)라는 작품에 쓴 ‘비포 리빙’(Before Leaving)은 보는 사람마다 각기 다르게 해석을 할 수가 있다. 이 글에 대한 의미를 뭐라고 정의하기는 쉽지 않지만 사람들이 그림을 보며 ‘떠나 기 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떠나고 나서 어디로 가는지’ 등에 대해 각자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글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자제하는 것이다. 보는 사람들이 자신만의 느낌으로 해석해 주었으면 좋겠다.”
프랑스 작가 우고 리는 26일 서울 용산구 유엔빌리지 3길 비선재에서 개막한 ‘픽킹 플라워즈’ 전시회 작품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특별하게 아끼는 작품이 있나.
“솔직히 특정 작품 하나만 고른다면 내 자신을 속이는 것이다. 각각의 작품들이 모두 내 자신에게 중요한 스토리가 담겨 있다. 그림은 그릴 당시 내 의식의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어떤 스토리를 말씀드리기가 어렵고, 보는 사람들에게 그런 의식 상태를 설명해서 미리 어떤 한 방향으로 생각을 치우치게 하고 싶지 않다. 제가 그린 식탁 위에 차려진 음식 그림을 보고 내가 작품을 그릴 때의 내 의식과는 별도로 그림을 보는 사람들은 그림 속에서 자신만의 특별한 감정과 기억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에서의 기억을 작품으로 남길 예정인가.
“물론이다. 나는 특정 모델을 앞에 두고 작품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내 머리 속의 기억을 가지고 그림을 그린다. 한국에서 전시회와 여행이 끝나고 파리로 돌아갔었을 때 그 기억을 작품에 남길 것이다. 어떤 주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오늘의 인터뷰가 될 수 도 있고, 서울에서 느낀 감정이 될 수도 있다. 지난 4월에 한국을 방문했을 때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달항아리를 작품을 보았다. 이번 전시회에 나온 작품 중에 ‘달항아리’(Moon Jar)라는 작품이 있는데 이 그림은 지난 4월에 서울의 기억을 가지고 파리에서 그린 것 중에 하나다. 작품 아래에는 ‘한국에서 온 나의 달항아리 작품’(My Moon Jar Work from South Korea)’이라는 문구를 표기했다.”
- 앞으로 활동 계획은.
“이번 전시가 한국에서 하는 첫 전시회인데 한국 사람들이 내 작품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사람들이 내 그림을 정말 좋아한다면 한국에서도 더 활발히 활동하고 싶다. 나는 뿌리가 아시아다. 그래서 아시아에서 더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아시아를 무대로 좀더 활발한 활동을 해보고 싶다. 내년 초에는 프랑스 남부에서 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그리고 싱가포르에서도 전시회를 계획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