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특별전… 43개 부족 유물·예술품 등 151점 만나다
자연과 교감·조화 중시한 세계관
이주민과 원주민의 시선 대비도
“원주민 문화, 편견 없이 느낄 것”
사진작가 에드워드 커티스의 ‘압사로가족 어머니와 아이’(1908년). 온몸을 감싼 채 얼굴만 드러낼 수 있게 만든 아기 요람이 인상적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전시 제목이 의미심장하다. 1492년 신대륙 탐험에 나선 콜럼버스가 북미 대륙을 인도로 오인해 원주민을 인디언으로 불렀던 것처럼 우리도 그들의 문화와 역사를 무지와 편견으로 대하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보자는 취지다. 북쪽 알래스카에서 남쪽 뉴멕시코에 이르기까지 광활한 대륙에 살던 570여개 부족 원주민은 유럽 이주민들에게 삶의 터전을 빼앗긴 뒤 새로운 체제에 동화되거나 원주민 보호구역으로 쫓겨났다. 험난한 역사 속에서도 이들이 쌓아 온 고유한 문화와 다채로운 예술은 공예품, 회화, 사진 형태로 전해져 오고 있다. 이번 전시에선 덴버박물관 소장품 중에서 10개 문화권, 43개 부족의 유물과 예술품 151점을 소개한다.
북미 원주민들에게 독수리 깃털로 만든 머리장식은 존경을 표하는 상징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시장 한가운데 우뚝 선 대평원 원주민의 보금자리 티피도 인상적이다. 원주민들은 티피의 둥근 바닥을 대지로, 기둥을 하늘과 땅을 이어 주는 의미로 여겼다고 한다. 부족 안에서 존경받는 사람만 쓸 수 있었던 독수리 깃털 머리장식은 영상으로 볼 때보다 훨씬 압도적인 크기로 시선을 사로잡는다.
대평원 원주민의 보금자리인 티피. 미네콘주 라코타족 원주민이 1880년경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크리스토프 하인리히 덴버박물관장은 개막 전 열린 17일 언론공개회에서 “북미 원주민의 삶과 문화에 대한 깊은 공감과 함께 아름다움을 느끼길 바란다”고 했다.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도 “깊이 있고 풍부한 북미 원주민의 역사와 문화를 편견 없이 바라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전시는 오는 10월 9일까지이며 이후 부산시립박물관에서 전시를 이어 간다.
2024-06-1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