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조경가 정영선 전시회
선유도공원·경춘선숲길 등 조경
300여 프로젝트 중 60여개 엄선
바닥에 작품 깔아 발 딛고 감상
국립현대미술관의 첫 조경 전시
1세대 조경가 정영선의 50년 조경 인생을 조망하는 전시가 서울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오는 9월 22일까지 열린다. 그가 정원에 자주 활용하는 방지에서 영감을 받아 전시장 바닥에 주요 프로젝트 도면, 드로잉, 영상 등을 펼친 전시 전경.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1세대 조경가이자 국내 1호 여성 국토개발기술사인 정영선(83). 1970년대 서울대 환경대학원 재학 시절부터 현재진행형인 프로젝트까지 그가 직접 어루만진 반세기 조경 프로젝트는 곧 우리나라의 조경 역사를 이룬다.
아시아선수촌아파트와 아시아공원(1986), 대전 엑스포 박람회장(1993), 호암미술관 희원(1997), 여의도샛강생태공원(1997, 2007), 선유도공원(2002), 광화문광장(2009), 서울식물원(2014), 경춘선숲길(2015~2017), 제주 오설록(2011, 2023) 등은 늘 우리 곁에서 꽃과 풀, 나무가 주는 충만함과 위로의 힘을 누리게 하는 소중한 공간들이다.
서울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이 조경에 바친 그의 치열하고도 성실한 궤적을 전시로 차려 냈다. 오는 9월 22일까지 서울관 7전시실에서 열리는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다. 그가 평생 일군 300여개의 프로젝트 가운데 엄선한 60여개 프로젝트의 청사진, 설계도면, 모형, 사진, 영상, 파스텔·연필·수채 그림 등 각종 기록 자료 518점이 한 공간에 조밀하게 엮였다.
1세대 조경가 정영선의 50년 조경 인생을 조망하는 전시가 서울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오는 9월 22일까지 열린다. 그가 미술관 전시마당에 언덕과 자연석을 배치하고 양치식물, 야생화 등을 심어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게 한 정원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전시는 그가 정원에 자주 들여보내는 ‘방지’(네모난 연못)에서 착안해 바닥에 각종 기록 자료를 깔아 관람객이 직접 강화유리를 밟고 굽어보거나 앉아서 땅을 읽듯 살펴보게 한 것이 특징이다. 허리를 굽히고 정원을 일구는 조경가의 일과 시간이 관람객들에게도 포개지길 바라는 의도에서다. 벽면 가운데에는 ‘정영선 작품’의 아름다움을 압축한 사진들이 내걸려 정원의 풍경에 취하게 한다. 그 위 벽면 전체에 둘러진 영상은 정원을 거닐어 보는 듯한 입체적 체감이 가능하게 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조경가의 작업을 전시로 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지회 학예연구사는 “정영선은 국토 개발 논리가 득세하던 시대에도 환경 보전과 자연경관에 대한 존중 등을 일찌감치 설파했다. 어떤 조경이 필요할지 고민할 때 땅의 지형과 조건을 읽어 내는 것부터 시작했다”며 “그의 작업들은 시각예술 측면에서도 짚어 볼 만한 예술적 창조물”이라고 말했다.
미술관까지 찾아온 관람객이라면 그가 직접 솜씨를 부려 놓은 정원을 향유할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겠다. 전시마당과 미술관 뒤편의 종친부마당에서는 봄의 징검다리를 건너 여름이 익어 갈수록 제각기 다채로운 미를 뽐내는 자생종 꽃과 나무들이 매일 새로운 장면을 연출한다. 미술관 속 그의 정원은 앞으로 3년간 유지된다.
2024-04-2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