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가면 뒤 하나의 마음 행복

한중일 가면 뒤 하나의 마음 행복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11-01 01:28
수정 2023-11-02 0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민속박물관 마스크 특별전

3국 200여점 내년 3월 3일까지
中 ‘나희’·日 ‘가구라’ 가면 공개
이미지 확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는 ‘MASK-가면의 일상, 가면극의 이상’ 특별전에서는 한국의 말뚝이(사진) 등 한·중·일 가면 200여점을 통해 사람들이 꿈꿨던 세상을 보여 준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는 ‘MASK-가면의 일상, 가면극의 이상’ 특별전에서는 한국의 말뚝이(사진) 등 한·중·일 가면 200여점을 통해 사람들이 꿈꿨던 세상을 보여 준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힘들 때 웃어 본 사람은 안다.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지만 웃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가면을 쓰고 있음을. 생활에 치이고 삶이 고단할 때면 사람들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요즘 일이 아니라 아주 오래전부터 그랬다.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지난 24일 개막한 특별전 ‘MASK-가면의 일상, 가면극의 이상’은 한·중·일의 가면 이야기를 풀어낸 전시다. 지난 2년간 국립민속박물관이 진행한 아시아의 가면 조사 연구를 응축한 결과물로 닮은 듯 다른 한·중·일 가면 관련 유물 200여점을 한자리에 모았다.

고려시대 하회별신굿탈놀이, 1930년대 북청사자놀이 탈 등을 통해 우리나라 가면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게 했다. 중국 나희(중국의 가면극) 가면도 전시했고 일본 가구라(신에게 봉납하기 위해 공연하는 가무) 가면은 국내 최초로 공개됐다.
이미지 확대
일본의 사카키오니 가면.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일본의 사카키오니 가면.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중국의 연개소문 가면.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중국의 연개소문 가면.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전시 1부는 한·중·일 가면의 차이를 보여 주면서 시작한다. 가면극에는 당대 사회의 의식과 정체성이 반영돼 있어 한·중·일은 각국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른 세계관을 그렸다. 한국에는 말뚝이 대 양반, 취바리 대 노장, 할미 대 영감 등 대결 구조로 극을 이끌어 가다 결국에는 화해하고 함께 춤을 추며 끝나는 탈놀이가 있었다. 서로 대립하고 미워하더라도 함께 잘사는 세상을 꿈꿨던 한국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중국의 가면극에서는 삼국지연의의 관우처럼 영웅들이 나온다. 전설 속 인물들이 등장해 해피엔딩을 맞는 이야기를 그렸다. 마을의 신사에서 선보였던 일본 가면극은 신들의 세계를 다룬 게 주를 이뤘다.

가면을 쓰는 양태는 달랐지만 가면 뒤에서 잘사는 세상을 꿈꾸던 마음은 모두가 한결같았다. 사람들은 가면극을 통해 농사가 잘되고 동물과 물고기가 많이 잡히며 질병을 일으키는 액을 없애 아프지 않기를 바랐다. 전시의 하이라이트인 2부에서는 서로 다른 가면을 썼지만 나란히 행복을 꿈꿨던 마음들을 모았다. 흉악하게 생겼지만 액을 없애고 복을 주는 착한 가면들, 풍농·풍어·다산 등 풍요를 목적으로 연행되는 가면극들까지 살맛나는 세상을 위한 소망이 담긴 가면과 가면극 등을 소개한다.
이미지 확대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김해오광대 등 한국 전통 가면극에 쓰인 가면들도 다양하게 만날 수 있다.  류재민 기자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김해오광대 등 한국 전통 가면극에 쓰인 가면들도 다양하게 만날 수 있다.
류재민 기자
이번 전시에서는 국내에 남아 있는 탈놀이 가면 가운데 가장 오래된 국보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11점을 만나 볼 수 있어 눈길을 끈다. 전시 1부에 설치된 조형물에 영상으로 가면을 씌우는가 하면 2부에서는 주제별로 다양한 가면극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등 첨단 기술도 알차게 활용했다.

전시를 준비한 오아란 학예연구사는 “가면극을 통해 꿈꾼 건 잘 먹고 잘사는 세상”이라며 “옛사람들이 일상에서 가면을 왜 썼을까 살펴 보니 이상이 담겨 있더라. 전시가 내년 3월 3일까지인데 ‘올해 감사했다’, ‘올해 어려운 거 털어내고 내년을 새로운 기분으로 맞으면 좋겠다’, ‘모든 액이랑 응어리를 풀어내고 새로운 기운 받아 가시라’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말했다.
2023-11-0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