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수리 마하수리… 소원 빌던 신라의 달밤
경주박물관 ‘수구다라니’ 전시
신비한 불교 주문 적힌 한지
8~9세기에 제작돼 국내 최고
금강신·연꽃·나팔 등 그려져
범자 수구다라니.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봤을 마법의 주문인 이 말은 불교 경전 ‘천수경’에 나오는 구절이다.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하게 씻어 내는 참된 말’이란 뜻으로 옛사람들은 이것을 세 번 외우면 입으로 지은 모든 업을 깨끗하게 씻어 낼 수 있다고 믿었다.
살아가는 일이 간절한 마음만으로 다 이뤄지는 것은 아니겠으나 예나 지금이나 좋은 일을 염원하는 마음은 변함없다.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지난 24일 개막한 특별전 ‘수구다라니, 아주 오래된 비밀의 부적’은 신라인들의 소원 부적이었던 수구다라니를 조명한 전시다.
다라니는 부처의 가르침 중 핵심이 되는 것으로 ‘수리수리 마하수리’처럼 신비로운 힘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주문을 말한다. 수구다라니는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라고도 하는데 다라니를 외우는 즉시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 해 유행했다.
이번에 공개된 수구다라니는 경주 남산에서 출토된 것으로 1919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입수해 국립중앙박물관이 관리해 왔다. 그간 주목받지 못한 채 수장고에 묻혔다가 정확한 정보와 연구 자료 확보를 위해 과학적 조사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됐고 분석 및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이번에 처음 공개됐다.
수구다라니가 보관됐던 금동 경합이 제작 방식과 기법 면에서 다른 8~9세기 것과 유사해 수구다라니 역시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본다. 이는 국내 현존하는 필사본 다라니 중에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다라니는 인도에서 시작해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왔는데 분석 결과 종이가 닥나무로 만든 한지라는 점은 국내에서 직접 제작했음을 보여 준다.
가로세로 약 30㎝ 크기로 하나는 한자, 하나는 범자(고대 인도 문자)로 적혀 있다. 범자 다라니에는 중앙에 금강신이 왼손으로 무릎을 꿇고 앉은 인물의 정수리를 어루만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가운데 그림은 발원 대상자에 따라 달라졌다는 점에서 해당 인물은 발원한 관리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자 다라니는 경전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 외곽 사방 모서리에 연꽃 위에 놓인 칼, 금강저, 소라나팔 등이 그려져 있다.
전시를 준비한 신명희 학예연구사는 “삼국유사나 해인사묘길상탑지 등 문헌 기록에서만 확인됐던 통일신라 수구다라니를 처음 발견한 사례로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추후 연구에 따라 가치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시는 내년 1월 28일까지.
2023-10-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