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박물관 ‘백제 무령왕의 장례’
서거부터 무덤 안치 등 27개월
성왕의 곡진한 장례 과정 담아
별자리 영상·유물 697점 전시
국립공주박물관 ‘1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 특별전에서는 무령왕 목관 등 장례 관련 유물을 통해 백제 최고 국가행사의 결과로 남겨진 무령왕릉의 모습을 새롭게 느낄 수 있다.
충남 공주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지난달 개막한 ‘1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는 무령왕(462~523) 1500주기를 맞아 성왕(504?~554)이 곡진하게 치렀던 아버지의 장례 과정을 조명한다. 무덤 안치 등 약 27개월간의 일을 국보 9건 등 백제 왕실의 장례문화와 관련된 126건 697점을 통해 보여 준다.
왕권 사회에서 선왕의 장례는 일반 장례보다 더 중요했다. 아버지가 구축한 세계를 아들이 무사히 이어받는 것은 왕조의 운명과도 직결된 일이었다. 흔들리던 백제 왕조를 강화한 무령왕을 계승해야 하는 성왕에게 장례는 새 백제왕으로서 자리와 권위를 찾아가는 핵심 과정이었다. 성왕은 돌아가신 왕을 위해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좋은 땅을 ‘돈 1만매’를 내고 샀고 이를 증명하는 내용을 돌에 새겨 넣었다. 영원한 안식처가 될 공간은 연꽃무늬 벽돌로 채워 꾸미는 등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아버지를 모시면서 성왕은 새로운 시대의 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전시는 크게 5부로 구성됐다. 무령왕이 죽은 523년 5월 7일을 알려 주면서 전시관에 입장하면 관람객들은 조문객이 된다. 무령왕의 묘지석에는 황제의 죽음을 뜻하는 ‘붕’(崩)이 쓰여 있는데 김미경 학예연구사는 “장례를 황제의 격식으로 치르며 자신의 위상까지 높이려 한 의지”라고 설명했다.
1부에선 무령왕의 죽음을 맞이한 성왕이 장례를 준비하는 과정을 담았다. 선왕의 선업이 이어지기를 바란 성왕의 염원이 다양한 유물을 통해 소개된다. 2부에서는 무령왕의 시신을 생전 모습으로 정성껏 꾸민 뒤 집 모양의 목관에 안치하기까지 과정을 보여 준다. 무령왕 목관 위로 영상으로 별자리가 펼쳐져 27개월 시간의 흐름을 표현했다. 장례가 진행되며 죽은 왕은 생전 호칭인 사마왕에서 무령왕이 됐고 성왕은 태자 명농이 아닌 새 왕으로 조문 사절을 맞았다.
국립공주박물관 ‘1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 특별전에서는 무령왕릉을 지킨 진묘수 등 장례 관련 유물을 통해 백제 최고 국가행사의 결과로 남겨진 무령왕릉의 모습을 새롭게 느낄 수 있다.
2023-10-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