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변의 시기 대한제국의 외교 공간이었던 덕수궁 돈덕전이 6년여에 걸친 공사를 마치고 25일 공개됐다. 내부는 전시 공간으로 꾸몄고 일반 관람객은 26일부터 볼 수 있다. 류재민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25일 돈덕전 내부를 언론에 사전 공개했다. 대한제국 당시 외교 중심 공간이었던 돈덕전의 역사성을 고려해 대한제국 외교사 중심의 전시와 기록 보관, 도서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다.
돈덕전은 덕수궁 석조전 뒤쪽에 있는 프랑스식 2층 건물이다. 대한제국 당시 고종이 즉위 40주년을 축하하는 기념 행사장으로 1902~1903년에 걸쳐 지었다. 대규모 국제행사를 통해 황제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지만 콜레라의 창궐로 국제행사가 무산되고 국내행사로 축소돼 전통방식으로 경운궁(현 덕수궁)내에서 거행됐다.
당시 중립국이 되는 것이 열강들 사이에서 살아남는 길이라 판단했던 대한제국이 영세중립국 형태를 제안한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식으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박상규 학예연구사는 “이 건물을 지을 때가 절체절명의 시기였다”면서 “정부는 벨기에나 스위스를 보고 저렇게 하면 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건축미보다는 국제 정세와 역학관계에 관한 판단 속에서 양식이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덕수궁 돈덕전 내부. 류재민 기자
내부 복도 바닥은 발굴과정에서 출토된 타일을 재현해 장식했다. 천장과 벽에는 100년 전 분위기의 조명등을 다는 등 화려한 근대식 건축미학이 돋보인다. 1층에선 고종의 즉위 40주년 행사 등을 표현한 실감형 영상 등이 펼쳐진다. 2층에 마련된 한국의 근대 외교를 주제로 한 상설전을 통해서는 돈덕전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초대 주미 전권공사를 지낸 박정양(1841~1905), 대한제국의 마지막 영국 주재 외교관 이한응(1874~1905) 등 외교관들의 삶과 활동도 조명한다. 특별히 2009년 발견된 일장기 위에 태극기를 그린 ‘진관사 태극기’(보물)는 공식 개관일인 26일 딱 하루만 원본을 공개하고 이후에는 사본으로 전시한다.
진관사 태극기가 전시된 모습. 홍윤기 기자
박 학예연구사는 “우리가 문화유산을 끌어안고만 있을 게 아니라 문화유산을 활용해 더 높은 가치를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전시 공간으로 만들어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기획전시실은 주제를 국한하지 않고 시대만 맞는다면 어떤 전시도 할 수 있다”고 말해 다양한 변신을 예고했다. 권점수 덕수궁관리소장은 “100년 만에 재건된 돈덕전이 문화 교류 공공 외교 플랫폼으로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