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 낙인’ 지우니 보인다...억압 뚫은 대담함

‘월북 낙인’ 지우니 보인다...억압 뚫은 대담함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3-07-30 16:14
수정 2023-07-30 16: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화랑 정전 70주년 기념전 ‘화가 임군홍’
유족 보관해온 유화 80점 등 120여점 나와
“주도적으로 기법·양식 선택…독자적 화풍 일궈”

이미지 확대
임군홍, 가족,96x126.5cm,Oil on canvas,1950 예화랑 제공
임군홍, 가족,96x126.5cm,Oil on canvas,1950
예화랑 제공
모란꽃 민화가 걸린 초록빛 실내에 한 가족이 앉아 있다. 잠든 아이를 품에 안은 어머니의 표정에선 점점 불러오는 배처럼 근심이 피어난다. 어린 딸은 붉은 탁자 위 턱을 괴고 골똘히 생각에 잠겨 있다. 1세대 서양화가이자 월북작가인 임군홍(1912~1979)이 한국전쟁 직후인 1950년 남한에서 그린 마지막 그림이자 미완성작인 ‘가족’이다.

지난 25일 임군홍 개인전이 열린 서울 신사동 예화랑에서 만난 화가의 차남 임덕진(75)씨는 “그림 속 잠든 아이가 바로 나”라며 “세상 떠날 때까지 곁에서 떨어뜨리고 싶지 않은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아버지는 식민지 시대와 해방 공간을 거치며 예술정신 하나로 살았던 사람으로, 틀에 얽매이지 않는 대담한 화풍을 구사했다”고 회고했다.
이미지 확대
고 임군홍 작가의 차남 임덕진씨가 지난 25일 서울 신사동 예화랑에서 열린 임군홍 개인전 기자간담회에서 아버지의 1940년대 작품 ‘북평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정서린 기자
고 임군홍 작가의 차남 임덕진씨가 지난 25일 서울 신사동 예화랑에서 열린 임군홍 개인전 기자간담회에서 아버지의 1940년대 작품 ‘북평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정서린 기자
1930~1940년대 중국과 한국을 오가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 왔으나 이후 ‘월북 작가’라는 낙인에 갇혀 우리 미술사에서 잊혀진 임군홍의 작품 세계 전모가 예화랑 3층 건물을 채웠다. 유화만 80여점으로, 수채화, 스케치 등까지 120여점에 이른다.

지난 4월 예화랑 45주년 기념 전시를 열며 작가의 작품 8점을 포함시켰던 김방은 대표는 “전시 뒤 임선생님 댁에 가 작품들을 살펴보니 억압된 시공간에서도 독학으로 자신만의 화풍을 일군 화가의 담대함이 놀라웠다. 이를 대중들에게 더 많이 알리고 싶었다”고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마티스 색채, 도상 연상시키는 ‘모델’ 눈길
인물, 정물, 풍경 등 장르 자유자재 넘나들어
작가의 부재 이후 유족들이 73년간 작품을 지켜온 덕에 전시는 더 탄력을 받았다. 유족이 1986년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했던 주요작 ‘소녀상’, ‘북평낭’, ‘여인좌상’, ‘모델’ 등 5점도 나왔다. 전시에서는 표현주의, 인상주의 등 서양화의 다양한 양식과 기법을 빠르게 흡수하고 인물화, 풍경화, 정물화 등 장르를 유연하게 넘나들었던 작가의 면면이 체감된다.
이미지 확대
임군홍, 모델,90x71.5cm,Oil on canvas,1946,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예화랑 제공
임군홍, 모델,90x71.5cm,Oil on canvas,1946,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예화랑 제공
전시 때마다 뽑혀 나간다는 ‘모델’(1946)은 시원스레 뻗은 여인의 팔다리와 탐스러운 연꽃, 붉은 슬리퍼 등 과감한 인체 표현과 색의 활용이 마티스의 색채와 화면 구성을 연상시킨다. 중일전쟁의 폭력으로 가슴을 유린당한 여인의 참혹을 그린 ‘상처받은 여인’(1940년대)은 우울하고 어두운 색채, 거친 붓질로 대상에 공감하게 한다. 이육사의 시가 떠오르는 ‘청포도’(1940년대), ‘유채꽃이 있는 정물’(1930년대) 등 소담스러운 정물화들도 여럿 눈에 띈다.
이미지 확대
임군홍, 청포도,16.5x36.5cm,Oil on canvas,1940년대 예화랑 제공
임군홍, 청포도,16.5x36.5cm,Oil on canvas,1940년대
예화랑 제공


1939~1946년 중국 한커우(현재 우한 지역)에 살며 베이징으로 자주 사생 여행을 떠났던 작가는 모네의 ‘루앙 대성당’처럼 계절, 날씨, 시간대를 달리해 특정 장소의 풍광을 거듭 그렸다. 전시에도 자금성과 이화원, 천단 등을 그린 작품이 여러 점 나와 같은 풍경이지만 달라진 감흥과 분위기, 빛과 색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재미를 준다.

김인혜 미술사가는 “임군홍은 서양의 양식을 모방하고 시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도적으로 기법과 양식을 선택하고, 대상을 대면한 순간 느낀 정감을 자유자재의 회화로 구현해냈다. 이런 진전의 과정은 스스로에게 성취감을 안겼을 것이고, 이것이 그가 어려운 여건에서도 화가이기를 포기할 수 없었던 이유일 것”이라며 재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9월 26일까지. 무료.
이미지 확대
임군홍, 각루(角樓),40x31cm,Oil on canvas,1940년대
임군홍, 각루(角樓),40x31cm,Oil on canvas,1940년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