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특별전에서 토우 복원에 힘쓴 나여생(왼쪽부터)·송선영·김원자씨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무서운 농담을 아무렇지 않게 웃어넘긴다. 사연을 말해주지 않는 작은 조각들을 맞추길 어느덧 25년 차. 그간 숱하게 만져온 유물들이 비로소 제 모습을 온전히 갖추고 전시장에 들어선 모습을 보는 나여생(71), 송선영(72), 김원자(73)씨의 표정에는 은은한 보람이 넘쳐흘렀다.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지난 25일 만난 세 사람은 토기 복원의 달인들이다. 나씨와 송씨는 1999년부터 조각들을 맞춰 왔고 김씨는 2000년부터 전시해설 자원봉사를 하다 2018년 작업에 합류했다. 26일 개막한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에 나온 많은 토기가 이들의 손으로 비로소 완전체가 될 수 있었다.
박물관 측에서 유물을 발굴해오면 세척하고 번호를 매기고 같은 편끼리 맞춰 하나의 유물을 완성하는 게 25년 역사의 시작이었다. 나씨는 “처음에는 부산 영도구 동삼동에서 출토된 토기부터 시작해 산더미처럼 쌓인 토기들을 세척하고 흙 털고 말리고 넘버링을 했다”면서 “문양끼리 맞추는 데서 희열을 느꼈다”고 말했다.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에 나온 토우장식 토기들. 류재민 기자
늦게 합류한 김씨는 “전시 유리창 안에 있는 토기를 만져보지도 못하고 해설을 하니 상당히 마음에 부담이 됐다”면서 “오래된 것을 직접 맞추고 작업하니 평생에 잘한 일”이라고 자랑했다. 박물관에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은 두 선배로부터 “청출어람”이란 평가를 듣게 했다.
열정을 바쳐 일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작은 실수도 허용하지 않는 프로가 됐다. 독한 접착제와 아세톤을 번갈아 사용해 건강에 안 좋지만 이들에게는 유물을 제대로 복원하는 일에 대한 즐거움과 뿌듯함 그리고 책임감이 가득했다.
송씨는 “우리는 손으로 말하는 사람”이라며 “뻥튀기를 먹다가 부러지면 그걸 맞추고 있다”고 웃었다. 25년이나 일을 하다 보니 박물관 관장도 여럿 바뀌었고 승진한 담당자들도 여럿 봤다.
이들 덕분에 이번 전시에서 많은 유물이 온전한 형태로 관람객들에게 이야기를 전할 수 있었다. 하나하나 맞춘 조각이 모여 대단한 역사가 됐지만 송씨는 “늘 하던 일인데 사방에서 칭찬을 해서 몸 둘 바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들의 목표는 할 수 있을 때까지 그리고 박물관에서 “나오지 마세요” 할 때까지 유물을 맞추는 일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