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가 37세에 쓴 ‘건구고궁’(위)과 81세에 쓴 ‘억석회만’. 류재민 기자
81세가 된 영조는 경희궁 도총부에 ‘억석회만’이란 현판을 달게 한다. 억석이란 옛일을 추억한다는 의미로 ‘억석회만’은 ‘옛일을 생각하니 만 가지가 그립다’는 뜻이다. 노년의 글씨에선 인생을 정리해가는 영조가 보인다. ‘억석회만’ 현판을 달고 두 해가 지난 후 영조는 생을 마쳤다. 위아래로 나란히 배치된 ‘건구고궁’과 ‘억석회만’의 간격은 좁지만, 오랜 세월을 압축하는 그 좁은 간격은 인생을 느끼게 한다.
조선 왕조의 현판들. 류재민 기자
태조의 명을 받은 정도전은 경복궁 이름을 비롯해 궁궐 안 주요 전각과 문의 이름을 지었다. 성종은 아직 현판을 걸지 못해 이름 없는 문이 많은 것을 보고 현판을 더 만들게 했다. 왕의 서체로 새겨진 ‘어필 현판’은 왕의 품격과 위엄을 보여 주는 유물로, 전해지는 775점의 현판 중 영조의 어필 현판이 85점으로 가장 많다.
한반도에서 현판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됐다.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은 현판에 특히 공을 들였다. 크기가 124×374㎝로 전시작 중 가장 큰 ‘대안문’(大安門·덕수궁 대한문의 원래 이름)을 통해 크게 편안하기를 바랐던 마음을 담은 것처럼 현판에는 추구해야 할 가치, 지켜야 할 도리, 이뤄졌으면 하는 소망 등이 담겨 있다. 예치(禮治·예로써 다스림)의 나라였던 조선의 법도를 현판에 담은 셈이다.
대안문 현판. 대안(大安)을 통해 평안을 기원했다. 문화재청 제공
전시는 프롤로그, 1부 ‘만들다’, 2부 ‘담다’, 3부 ‘걸다’, 에필로그로 구성됐다. 2018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등재된 81점의 궁중 현판과 관련 유물 등을 볼 수 있다. 관람객들은 전시 구경뿐만 아니라 창덕궁과 창경궁의 배치도인 ‘동궐도’ 그림에 디지털 현판을 만들어 걸 수 있다. 관람객들은 “학교가기싫다”, “종강시켜주세요” 등의 문구로 조선 왕조의 거창한 소망 못지않게 간절한 소망을 담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