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스페인 극작가 마요르 동명 희곡 원작
연극 ‘맨 끝줄 소년’ 중 클라우디오(왼쪽)와 헤르만 선생.
예술의전당 제공
예술의전당 제공
‘클라우디오’ 전박찬·안창현 더블캐스팅
“이 작품과 캐릭터 모두 너무 좋지만 ‘이제 됐다. 이제 끝이다’라는 클라우디오의 대사처럼 이만하면 됐다는 생각이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배우 전박찬의 각오에는 몸에 익은 캐릭터에 대한 편안함보다는 더욱 단단해진 연기관과 한층 깊어진 작품 해석이 담겨 있었다. 연극 ‘맨 끝줄 소년’ 2015년 초연과 2017년 재연 공연 당시 주연을 맡아 전회차 매진을 이끈 그는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작품에 임했다.
예술의전당 대표 연극으로 자리매김한 ‘맨 끝줄 소년’이 흡입력과 스릴을 더해 다시 돌아왔다. 개막 공연을 하루 앞둔 지난 23일 언론에 먼저 공개된 작품은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빠른 전개와 배우들의 완성도 높은 연기로 ‘전회 매진’ 신화를 쓴 저력을 보여 줬다.
‘맨 끝줄 소년’은 스페인 극작가 후안 마요르가의 동명 희곡을 원작으로, 내성적이지만 글쓰기에 재능이 있는 소년 클라우디오와 그의 잠재력을 알아본 문학교사 헤르만이 빚는 갈등을 그린다. 헤르만은 클라우디오의 능력을 발전시키려 그를 자극하지만, 클라우디오가 점차 글을 통해 현실과 허구를 오가는 윤리적인 줄타기를 하면서 관객은 각 인물의 심리 갈등에 빠져든다.
개막에 앞서 만난 손원정 연출은 “이 작품은 현실과 예술의 긴밀한 관계를 담고 있다”며 “예술이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그리는지, 현실의 우리가 예술을 어떻게 바라보며 욕망과 위로, 때로는 배신을 느끼는지를 문학을 소재로 보여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소 철학적이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작품임에도 관객의 큰 사랑을 받는 이유에 대해서는 “연극 기획자나 평론가보다 일반 관객들이 훨씬 더 똑똑하고 작품을 흡수시키는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많은 연극들이 쉽고 말랑말랑하게 풀어서 하는 이야기를 연극적 무대 언어를 통해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 관객의 갈증을 풀어 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작품은 초연 당시 고 김동현 연출의 기발하고 짜임새 높은 무대 연출로 호평을 받았다. 김 연출의 부인인 손 연출은 초연 각색에 이어 재연 공연부터 연출을 맡아 오고 있다.
3번째 공연에서 크게 달라진 부분은 클라우디오 역을 더블 캐스팅한 점이다. 전박찬과 함께 배우 안창현이 새로운 클라우디오를 선보인다. 전박찬이 깊이 있고 원숙한 클라우디오라면, 안창현은 관계에 서툴고 성장의 혼란을 겪는 클라우디오에 가깝다.
작품 끝까지 클라우디오와 팽팽한 긴장선을 유지하는 헤르만 역은 초연과 재연에 이어 배우 박윤희가 맡았고, 헤르만의 아내 후아나 역에는 재연에 합류한 배우 우미화가 다시 무대에 오른다. 녹음 음향효과가 아닌, 코러스 배우들이 등장인물의 감정에 따라 육성으로 완급을 조절하는 음향은 극의 몰입도를 더욱 높여 준다. 공연은 12월 1일까지.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9-10-3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