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첼리스트 트룰스 뫼르크·서울시향 ‘엘가’ 협연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첼리스트 트룰스 뫼르크의 협연과 서울시향 수석객원지휘자 마르쿠스 슈텐츠의 지휘로 엘가 첼로협주곡이 연주되고 있다. 서울시향 제공
첼리스트 트룰스 뫼르크
뫼르크는 무대 위에서 늘 관객과 마주 봐야 하는 첼리스트의 고충을 말한 바 있다. 바이올리니스트는 언제든지 자세를 틀어 관객을 바라보지 않을 수 있고, 피아니스트도 건반과 악보만 보고 관객을 ‘외면’할 수 있지만, 첼로 연주자는 늘 관객과 마주하고 연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 같은 부담에 개의치 않는 듯 오로지 음악에만 집중했다. 엘가 첼로협주곡을 연주하며 흔히 볼 수 있는 감정 과잉 같은 제스처는 찾기 어려웠다.
그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연주자는 공연장의 특색,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간의 호흡, 그 순간의 감정 등 매번 달라지는 환경 속에서 어떻게 최선의 연주를 보여 줄 수 있는지 알아야 하는 일종의 도전이자 압박을 받는다”면서 “공연 전후에 연주를 아무리 잘해도 소용없다. 연주하는 그 순간에 모든 것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무대 위의 집중력 때문이었을까. 그의 숭고하면서도 절제된 첼로의 음색에 청중은 공감했다.
엘가 첼로협주곡은 영화 ‘덩케르크’의 OST로도 유명한 ‘님로드’(‘수수께끼 변주곡’ 중 9번째 변주), ‘위풍당당 행진곡’의 작곡가인 엘가가 노년에 작곡한 후기 낭만파의 걸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뫼르크는 “1차 세계대전에 희생된 이들에 대한 애도, 작곡가 개인의 인생을 돌아보는 작별의 심정, 후기 낭만주의가 음악사에서 시기적으로 마감되는 것에 대한 감정 등이 복합적으로 담긴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엘가 첼로협주곡이 연주자들에게 더욱 어려운 이유는 영국 첼리스트 재클린 뒤프레의 명연주가 ‘거대한 산’처럼 자리하고 있기 때문. 하지만 이날 연주는 순전히 뫼르크 자신만의 것이었다. 류태형 음악평론가는 “자칫 감정의 과잉으로 빠지기 쉬운 곡이지만, 뫼르크는 밀도 있고 중도적으로 자기만의 연주를 보여 줬다”면서 “뒤프레를 흉내내는 연주도 많은데, 그런 것과 상관없이 곡을 직시함으로써 나오는 미감을 잘 전달했다”고 말했다.
뫼르크는 연주 후 앙코르로 제자 심준호 등 첼로 단원 8명과 함께 20세기 첼로 거장 파블로 카살스의 ‘새의 노래’를 함께 연주했다. ‘새의 노래’는 카살스가 자신의 고향인 스페인 카탈루냐의 민요를 편곡한 곡으로, 그의 첼로 소품집에 담겨 더욱 유명해졌다. 뫼르크는 무대 위 압박을 벗어난 듯 한결 편안한 표정으로 후배들과 함께 거장에 대한 헌정과도 같은 곡을 연주하며 이번 공연을 마무리했다.
뫼르크는 1982년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입상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해 명성을 쌓아온 북유럽의 대표 연주자다. 2009년 뇌염으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왼쪽 팔이 마비되는 음악인생 최대의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병을 극복하고 2011년 극적인 복귀 무대를 가진 뒤 다시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8-06-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