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내가 사랑한 미술관:근대의 걸작’
6개의 웅장한 코린트식 기둥이 떠받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완벽한 대칭과 건축적 미가 감흥을 준다. 국내에서 고전주의 미학을 오롯이 구현한 근대 건축물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이 건물에는 역사의 비운도 서려 있다. 일제강점기인 1938년 일본 건축가 나카무라 요시헤이(1880~1963)의 설계로 지어져 조선 왕실의 미술품을 전시한 ‘이왕가 미술관’으로 활용된 것. 당시 일본 총독부는 고종황제의 마지막 거처였던 석조전(현재 대한제국역사관)에는 일본 근대미술을 전시하며 이왕가 미술관의 소장품과 대비해 조선 미술을 열등한 것으로 몰아 갔다.덕수궁미술관 정면의 전경을 담은 유리원판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조선과 건축’ 1938년 6월호에 수록된 미술관 개관 당시 원형계단 사진. 세련된 철제 난간이 돋보이는 이 계단으로 지붕 옥상까지 올라갈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올해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이 이왕가 미술관으로 지어진 지 80주년이자 국립현대미술관이 ‘근대미술 중심 미술관’이 된 지 20주년이다. 이를 되새기기 위해 미술관 자체가 지닌 근대의 굴곡과 근대 예술 작품들을 한데 조망하는 전시가 열린다. 국립현대미술관이 덕수궁관에서 10월 14일까지 여는 ‘내가 사랑한 미술관: 근대의 걸작’전이다.
작품뿐 아니라 덕수궁관이라는 건물 자체의 역사적 의미와 건축 미학도 전시의 일부라는 게 이번 기획의 방점이다. 미술관 측은 덕수궁관 정면 모습, 옥상으로 연결된 원형 계단, 덕수궁관의 중앙홀, 덕수궁관과 대한제국역사관의 연결 다리 등 ‘덕수궁관 8경’을 선정해 관람객들이 관람 동선에 따라 미술관이 곧 전시를 완성하는 곳임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 2014년 11월 일본에서 발굴된 개관 당시의 덕수궁 미술관 설계도(1936~1937년 작성)도 처음 일반에 공개된다.
1972년 ‘한국 근대미술 60년’전 출품 당시 국립현대미술관이 100만원에 사들였던 박수근의 ‘할아버지와 손자’.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1935년 제14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입선한 김기창의 초기작 ‘가을’.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전시장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이 개관 이후 모아 온 주요 근대 미술 작품과 발굴·소장의 뒷이야기 등 작품을 둘러싼 역사도 한눈에 꿸 수 있다. 특히 국립현대미술관이 처음 한국 근대 미술을 조명한 1972년 전시 ‘한국근대미술 60년’에 나와 미술관 소장품이 된 작품들은 교과서에서 익히 봐 온 한국 미술의 대표작이자 현재는 천문학적 금액의 가치를 지닌 걸작이기도 하다. 박수근의 ‘할아버지와 손자’, 이중섭의 ‘투계’, 고희동의 ‘자화상’, 김기창의 ‘가을’ 등 풍성한 컬렉션이 관람객을 맞는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8-05-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