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강현실 미디어아트 선보인 이배경 작가
갤러리의 흰 벽에 검은색 라인테이프로 육면체들이 그려져 있다. 비어 있는 공간에 스마트폰을 들이대자 화면에 직육면체들이 나타나 움직인다. 무중력의 공간에서처럼 이리저리 떠다니던 직육면체들은 벽에 부딪히다 한데 모아지더니 폭발하듯이 퍼져 다시 움직인다. 스마트폰 속 가상의 공간에서 육면체들이 뭉쳤다 흩어지기를 반복하면서 마치 실제 같은 상황을 연출한다.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 주는 기술인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이 작품은 미디어 작가 이배경(48)의 ‘제로 그래비티 스페이스’이다.이배경 작가가 증강현실 기술이 접목된 작품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통의동 아트사이드갤러리에서 ‘공간&시간, 상념’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개인전에서 작가는 다양한 디지털 신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무중력 공간’ 시리즈를 선보인다. 구글이 ‘탱고프로젝트’로 개발한 AR 기술 외에 3D 애니메이션(컴퓨터를 이용해 제작한 3차원 공간의 동영상), 무빙사운드 등 예술의 영역에서 아직은 낯선 신기술을 적용한 작품으로 우리의 감각을 가상공간으로 확산시켜 준다.
갤러리 윈도 공간에는 50인치 모니터에 3D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영상작품 ‘큐브 인 큐브-제로 그래비티 스페이스’를 설치했다. 갤러리 지하 1층의 거대한 벽면에 매핑된 영상 작업 ‘공간-제로 그래비티 스페이스’는 우리의 시각적 한계를 확산시켜 준다. 기둥과 천장, 흰 벽으로 이뤄진 전시 공간의 건축적 구조를 본떠 컴퓨터 그래픽으로 400배 넓은 가상의 공간을 만들고 육면체들이 어떤 힘에 의해 계속 부유하며 움직이고 서로 부딪히는 장면을 만들었다. 영상과 함께 프로그래밍으로 만든 바람 소리를 설치함으로써 시각적 경험과 청각적 효과로 가상의 공간을 마치 실제처럼 느끼게 만들었다.
서울 종로구 통의동 아트사이드갤러리 지하 1층 벽면에 매핑된 영상작품은 3D 애니메이션과 무빙사운드를 이용해 무한하게 넓은 가상의 공간이 마치 실제처럼 느껴지게 한다.
영상과 설치, 인터랙티브 작업 등 미디어 작업을 10여년간 했지만 AR 작업은 처음이라는 작가는 “익숙하지 않은 디지털미디어 기술이 주는 재미도 큰데 그것을 예술의 영역에 도입했을 때는 위험 부담이 있다는 것이 문제”라면서 “감상자들이 너무 재미에만 매몰되지 않도록 재미의 요소를 30% 정도로 한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물리적 공간에 익숙해 있지만 채팅룸이나 단톡방처럼 별로 인식하지 않고 고민 없이 받아들이는 가상공간이 이미 많이 있다”면서 “제 작업은 이에 대한 판단이나 의견을 묻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기술이 구현한 가상의 현실 속에서 시간과 공간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해 볼 것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앙대 예술대학에서 조각을 전공한 작가는 비디오라는 매체에 매력을 느끼면서 미디어아트로 방향을 틀었다. 독일 브라운슈바이크대학에서 영화와 뉴미디어를 전공하고 쾰른 미디어예술대학 대학원과정을 졸업했다. 전시는 오는 20일까지.
글 사진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8-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