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연석 박사 1795년 설계도 복원
갑판 길이 26.55m·너비는 10m
알려진 것보다 폭 4m 더 큰 형태
3층 중앙 함포 설치, 확실한 증거
채연석 박사(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장·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가 최근 발견한 거북선 설계도를 바탕으로 18세기 거북선을 CG로 복원한 모습.
채연석 박사·유클리드소프트 제공
채연석 박사·유클리드소프트 제공
이런 상황에서 채연석(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위원장이 거북선 건조에 사용했던 설계 자료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거북선 축소 모델과 컴퓨터 모델을 만들어 18세기에 사용했던 거북선 모습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전통 화포·무기 체계 전문가인 채 위원장은 1979년부터 한국 전통 화약무기 복원 연구를 해 30여종의 화약무기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2015년에는 ‘이충무공전서’에 남아 있는 ‘전라좌수영 귀선도’와 이씨 종가에 남은 ‘귀선도’를 종합해 기동 중 함포 발사와 충파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거북선 내부 구조가 3층일 수밖에 없음을 밝혀내 주목받았다.
이번에 채 위원장은 1795년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에 포함된 ‘귀선도설’이 19세기 초까지 거북선 건조에 사용됐던 설계도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채 위원장은 조선시대 각 관아에서 오간 문서를 베껴 묶은 ‘각사등록’에 수록된 ‘통제영계록’의 1882년 거북선에 대한 기록을 기반으로 거북선 같은 3층 군선의 규격 특징을 분석해 실제 거북선의 모습에 가깝게 복원했다.
거북선은 통제영 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 2종류가 있는데, 귀선도설에 규격과 구조가 비교적 자세히 설명된 것은 통제영 거북선이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1층 앞부분과 2, 3층 개판 규격 등 기록되지 않은 부분도 많았다. 그동안 관련 자료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관심을 갖고 사료를 수집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렇게 부족한 정보를 구체적인 규격과 구조가 알려진 2층 여객선인 조선 사신선을 참고로 채우다 보니 연구자마다 추정치가 다르고 제대로 복원이 어려웠다고 채 위원장은 밝혔다.
채 위원장의 분석 결과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의 상장(갑판) 길이는 85척(26.55m), 폭은 32척(10m)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기존에 알려진 거북선과 길이는 비슷하지만 폭은 4m 정도 크다는 것이다. 또 3층 구조의 거북선에서 1, 2층의 제원은 임진왜란 당시 주력 함선인 판옥선과 같다고 채 위원장은 주장했다. 그동안 드라마나 영화에 나온 것처럼 거북선 지붕이 전체를 둥글게 씌운 형태가 아니고 3층 갑판의 중앙 부분에 판자를 세워 평평하게 만든 뒤 주변을 둥글게 씌웠다고 했다.
채 위원장은 “그동안 거북선 3층 갑판 중앙에 개판을 만들고 좌우에 함포를 배치해 사용했는지 아니면 조총이나 활을 사용했는지 의견이 분분했다”며 “함포를 설치해 사용했다는 확실한 근거를 찾았다”고 말했다. 1894년 ‘통제영 해유문서’를 통해 확인한 결과 거북 머리가 있는 2층 선두에 3대의 대형 함포, 선미에 1대의 함포를 설치하고 3층 좌우에 24대, 선두에 2대, 선미에 1대 등 총 31대의 함포를 장착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거북선 1대에 수군 182명이 탑승했고, 1층 창고에 61석의 군량미가 실렸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3-03-2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