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우리말 쓰기’로 46개 용어 바꿔
‘영 케어러’ 등 “쉽게 바꿔야” 응답 높아
2022년 새말모임 다듬은 말 목록 사례 일부. 문체부 제공
문체부와 국어원은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낯선 외국 용어를 알기 쉬운 말로 바꾸고 있다. 국어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한 새말모임을 통해 논의한 뒤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다듬은 말로 선정한다. 올해는 1~11월까지 모두 46개 용어를 다듬었다.
이 가운데 쉽게 바꾸어야 한다는 국민들의 응답률이 가장 높은 말은 ‘영 케어러’(81.9%)였다. 장애, 질병, 약물 중독 등을 겪는 가족을 돌보는 청년을 가리킨다. 국어원은 대체어로 ‘가족 돌봄 청년’을 제안했다.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단어는 ‘아르피에이’(80.6%)였다. 인간을 대신해 수행할 수 있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알고리즘화하고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로, 국어원은 ‘업무 처리 자동화’로 바꾸자고 했다. 다음으로 ‘큐레이션 커머스’(79.1% ‘소비자 맞춤 상거래’), ‘코워킹 스페이스’(78.8%, ‘공유 업무 공간)’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다듬은 말 중 적절하다는 평가를 가장 많이 받은 말은 ‘열린 쉼터’로, 응답자의 93.1%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도시 계획 과정에서 사람들에게 놀이 활동을 하게 하거나 편안함을 주고자 마련한 ‘오픈 스페이스’의 대체어다.
또 ‘민간 우주 개발’(뉴 스페이스), ‘가상 모형’(디지털 트윈), ‘현지 조달’(로컬 소싱)도 90% 이상의 호응을 받았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내년에도 어려운 용어를 잘 다듬어 국민에게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