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주 국토부 국어책임관
개찰→표확인·갱문→터널출입구
일본 한자 표현 등 바꿔 새달 고시
“한꺼번에는 아니더라도 조금씩이라도 바뀌는 모습을 보면 뿌듯합니다.”박은주 국토교통부 국어책임관(대변인실 사무관)
문화체육관광부는 2017년 국어기본법에 따라 정부 부처에 1명씩 국어책임관을 지정하고 있다. 이들은 지침에 따라 부처의 보도자료가 나가기 전 불필요한 외래어나 어려운 전문 용어, 일본식 한자 표현 등을 확인한다. 또 분야별 용어를 순화하는 행정규칙 고시도 담당한다.
박 국어책임관이 주목한 부분은 철도 관련 용어들이다. 우리 일상과 가장 밀접한 분야이지만 어려운 전문 용어가 많아서다. 예를 들면 이달 초 경기 의왕시 오봉역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을 당시 언론에서 ‘입환 작업 중 사고를 당했다’고 썼는데 ‘입환’(入換)은 ‘차량 정리’를 뜻한다. ‘키스앤라이드’ 역시 생소한 단어다. ‘기차 타기 전 입맞춤하는 곳’이라는 의미로 ‘환승정차구역’을 가리킨다.
박 국어책임관은 2019년 ‘개찰’은 ‘표 확인’, ‘갱문’은 ‘터널 출입구’, ‘핸드레일’은 ‘안전 손잡이’처럼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어들을 바꿨다. 2차 작업 결과로 다음달 문체부 고시에선 철도 분야 관련 용어 101개가 바뀐다.
단어를 바꾼다고 일이 끝나는 게 아니다. 예컨대 촉지도를 점자 안내판으로 바꾸려면 스티커를 떼어 내고 기존 안내판을 뜯고 교체해야 한다. 키스앤라이드 구역은 이름을 지우고 다시 도색해야 한다. 행정규칙 고시에 이어 상위법령 변경, 나아가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도 바꿔야 한다. 박 국어책임관은 “예산이 많이 필요한 일이고 이를 다루는 사령탑이 절실하다”며 무엇보다 국민들의 관심을 강조했다.
“어려운 전문 용어를 쉽고 바른 우리말로 바꾸는 과정을 국민들이 더 잘 아실 수 있도록 ‘손길’을 더하는 게 국어책임관의 역할입니다. 국민들이 ‘기차 안내표지판이 바뀌었네’, ‘안내방송이 달라졌네’ 하시면서 ‘눈길’을 주신다면 우리의 언어 환경도 더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22-11-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