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우리 새말]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디지털 태생’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디지털 태생’

입력 2022-03-01 08:47
수정 2022-03-04 1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정희 한글문화연대 기획위원

김정희 한글문화연대 기획위원
김정희 한글문화연대 기획위원
“모태 디지털 세대.”

이 용어가 올라오자 새말 모임 위원들 사이에서 웃음이 일었다. 모태라면 흔히 ‘모솔’이라는 줄임말로 불리는 ‘모태 솔로’의 그 모태겠지? 새말 모임 위원들도 모태라는 말을 듣자마자 ‘모솔’이라는 단어를 떠올렸고, 그래서 웃음이 퍼진 것이다. 하지만 ‘모태 디지털’이라는 표현을 제안한 위원은 진지하게 덧붙였다. “모태 ○○라는 표현은 비속어가 아닙니다. ‘모태 신앙’이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태어나기 전부터 습득하고 있다, 그만큼 익숙하다’는 뜻이지요.”

눈치를 챘겠지만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용어를 대체할 다듬은 말을 찾는 과정에서 있었던 일이다. 이미 디지털 기술 문화가 보편화한 사회에서 태어나 자라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들 기술문화를 터득하고 이용하는 세대를 일컫는 말이다. 하지만 이렇게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에게도 ‘디지털 네이티브’는 낯선 표현이었다. 설문조사에서 10대와 20대 답변자 중 무려 70% 넘는 이들이 뜻을 모르겠다고 답했다.

새말 모임 위원들은 우선 ‘디지털’이라는 단어를 우리말로 바꿀 것인지부터 짚어 보았다. 고민은 길지 않았다. 다른 말로 대체하기에는 우리 사회에 너무나 깊이 정착된 단어인 데다 ‘정보화’, ‘통신’ 등의 대안어 역시 ‘디지털’이 담은 뜻을 고스란히 반영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디지털이라는 단어까지 우리말로 바꾸면 북한어 같은 느낌이 들지 않을까요?”라는 농담 같은 의견도 나왔다. 그만큼 ‘억지로 바꾼 느낌’이 들 것이라는 데 공감한 것이다.

그래서 디지털은 접어 두고 ‘네이티브’를 대체할 단어 찾기에 몰두했다. ‘디지털 토박이’, ‘디지털 체화세대’, ‘디지털 원주민’ 등에, 앞서 말한 ‘모태 디지털 세대’도 제시됐다. ‘디지털 태생’이라는 말도 ‘모태 디지털’과 비슷한 의미로 추가됐다.

이들 중 ‘원주민’은 특정 지역에 먼저 거주하기 시작했다는 ‘선주민’의 의미가 있어 ‘날 때부터 익숙하다’는 뜻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나왔다. ‘원주민’이라고 하면 첨단 기술 용어라기에는 좀 낡고 오래된 느낌이 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때 등장한 표현이 ‘디지털 원어민’이었다. 영어 ‘네이티브 스피커’, 즉 ‘원어민’은 날 때부터 특정 언어를 배우고 익혀 모국어처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이를 뜻한다. ‘디지털 원어민’이라고 하면 이렇게 모국어를 구사하듯 자유롭게 디지털 기술문화를 이용하는 이들을 가리키기에 맞춤한 단어라는 데 의견이 모였다. 거의 만장일치로 통과.

이렇게 해서 ‘디지털 원어민’을 1순위로, ‘모태 디지털’, ‘디지털 태생’을 각각 2, 3순위 후보로 꼽았다. ‘디지털 토박이’도 4순위로 곁들이고.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위원들은 ‘디지털 원어민’을 압도적으로 지지했다.

그런데 여론조사 결과 국민들이 가장 선호한 표현은 ‘디지털 태생’이었다. 새말 모임 위원들이 3순위로 꼽았던 표현인데 말이다. 하지만 사실을 고백하자면 여론조사에서 ‘디지털 태생’도 그다지 큰 지지는 받지 못했다. 고작 55%의 답변자가 “적절하다”고 답했다. 이 수치는 다른 다듬은 말 후보 중에서 지지도가 낮은 편에 속한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디지털 세대’라는 대안이 많이 나오긴 했으나, 디지털 세대라는 말은 우리 사회에서 컴퓨터를 다루기 시작한 세대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즉 40대나 심지어 50대에서도 자신을 ‘디지털 세대’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에 비해 요즘 사용되는 ‘디지털 네이티브’는 태어날 때부터 거의 모든 것이 디지털이었던 순정 디지털 세대이므로 새말 모임에서도 차별성을 부각하려 고민한 것이리라.

※ ‘새말모임’이란 어려운 외래 용어가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다듬어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국어, 언론, 통번역, 문학, 정보통신, 보건 등의 분야로 구성된 위원회를 말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모임을 꾸리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