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의 소녀명창’ 권별·최슬아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소춘대유희-백년광대’에서 시간의 비밀을 지닌 아이를 연기하는 권별(왼쪽)양과 최슬아양이 관객들을 기다리며 한껏 들뜬 표정을 지었다.
지난 8일 국립정동극장에서 만난 ‘꼬마 소리꾼’ 권별(9)양과 최슬아(8)양이 그 어려운 역할을 해낸다. 판소리와 민요는 물론 승무·바라춤 등 전통 무용과 현대 무용이 어우러진 춤사위, 버나 놀이·솟대타기·줄타기 등 전통기예가 가득한 무대에서 두 소리꾼은 신비로운 존재로 등장해 우리 소리를 들려준다. 판소리 ‘수궁가’ 속 ‘고고천변’, ‘심청가’ 중 ‘심봉사 눈뜨는 대목’을 비롯해 새타령, 성주풀이 등 민요까지 다채로운 울림을 전한다.
다섯 살부터 외할머니를 따라 판소리를 익힌 슬아는 이미 무대 경험도 많다. 지난 6월 국립창극단 ‘귀토’에서 스승 윤충일 명창과 함께 수궁가를 부르기도 했다. “동물들의 상좌다툼이나 호랑이에게 잡힐까 걱정하는 일 등 동화책에서는 나오지 않는 이야기를 구석구석 담은 게 판소리의 매력”이라고 또박또박 말했다.
별이는 초등학교 1학년 겨울방학에 우연히 유튜브에서 본 판소리 영상에 바로 매력을 느꼈다. “아이돌 노래만 듣다가 판소리를 접하니 정말 유쾌하고 특별해 보였다”며 곧바로 판소리를 배우기 시작했다. 어리지만 소리의 깊이도 중요한 아이 역할을 위해 제작진이 전국을 수소문해 찾아낸 보석이다.
8월 말부터 본격적인 연습에 들어간 두 친구는 강행군을 펼치고 있다. 별이는 매일 오전 6시 30분에 대전 집에서 나와 7시 기차를 탔고, 슬아도 인천에서 오전 7시부터 서울로 향한다.매주 4일을 꼬박 국립정동극장에서 연습을 하고 오후에는 소리와 연기를 복습한다. 연습이 없는 날은 각자 선생님들과 소리 수업을 하고 무용 강습도 받는다.
“학교에 가지 못해 아쉽다”면서도 두 아이는 작품 이야기에 싱글벙글했다. “이 무대 자체가 정말 특별하고 재미있다”면서 “관객이 꽉 찬 공연장 무대에 올랐으면 좋겠다”(별)고도 하고, “백년광대들과 신나는 무대가 펼쳐질 텐데, 벌써 마지막 공연이 떠올라 아쉽다”(슬아)고도 했다.
“죽을 때까지 판소리를 하고 싶고 음악과 예술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별이 말을 “저는 죽어서도 할 거다”라며 슬아가 받아치니 “지구가 멸망해도 다른 행성에서 알아야 하는 멋있는 소리”(별)라며 귀여운 신경전을 벌였다. “사람들이 판소리를 제대로 모르는 게 안타깝다”는 두 친구는 “세계에 이 멋진 음악을 알릴 수 있도록 열심히 소리를 이어 나가겠다”고 한목소리로 다짐했다.
2021-10-1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