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용산·송현동인가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족들이 국가에 기증한 예술품을 소장·관리하는 ‘이건희 기증관’ 후보지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건희 기증관’을 어디에다 짓느냐를 두고 고심을 거듭했지만, 답은 서울이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7일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방안’을 발표하며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와 국립현대미술관 인근 송현동 부지 등 두 곳을 결정한 이유를 설명했다.
가장 우선한 것은 기증자의 정신이었다. 황 장관은 “이건희 컬렉션은 기증자가 수집하고 모은 철학”이라면서 “그 자체를 더 많은 국민께 보여드리는 게 주된 의도”라고 강조했다.
소장품 중 근대미술품을 떼어 국립근대미술관을 만들자는 의견은 배제됐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 회장의 수집은 한국 고미술에서부터 서양, 동시대 현대미술까지 두루두루 망라한 통섭형이었다”면서 “통섭의 정신이 수집가의 철학과 기증자의 의지”라고 했다. 나눠 기증했을 뿐 근대 미술관 건립이 기증자의 본래 의도는 아니었을 거라는 해석이다.
황 장관은 “유치 의사를 밝힌 지방자치단체가 40곳이나 됐다”면서 “지역 발전도 많이 고민했지만, 국민의 문화적 향유를 우선했다. 더욱 많은 국민이 향유하고 관광 등 산업적 인프라로 연결해 가치를 끌어올릴 최적점은 서울이었다”고 설명했다.
구겐하임 미술관을 세워 문화 도시로 거듭난 스페인 빌바오시의 사례에 대해서는 “미술관에 특별한 소장품이 있어서 유명해진 게 아니라 미술관 자체 브랜드로 성공한 것”이라며 “소장품보다 지역의 특성을 잘 살린 미술관 운영이 더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과의 확장성도 결정적인 이유였다. 김영나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위원회 위원장은 “다양한 미술품이 포함된 기증품을 보존·관리하는 데 두 박물관과 미술관의 인력이 반드시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최종 후보지 중 송현동 부지가 유력하다는 의견이 벌써 나온다. 송현동 부지는 애초 삼성가에서 미술관 건립을 위해 사들였던 땅이기도 해 남다른 의미가 있다. 다만 현재 대한항공 소유로, 서울시 이전 절차가 해결돼야 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기증품 1488점 중 20세기 초·중반 한국미술 대표작 60여점을 뽑았다. 김환기, 박수근, 이중섭, 이응로, 천경자 등 작가 35명의 작품을 만나 볼 수 있다.
내년 4월 중앙박물관과 현대미술관에서 기증 1주년 기념 특별전을 열고 하반기부터는 매년 3회 이상 지역별 박물관과 미술관 순회전 개최를 추진한다.
아울러 이건희 컬렉션 연구 방향도 제시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전문 인력을 활용해 기증품을 재질별로 분류해 고유 등록번호를 부여하고 사진을 촬영하는 작업을 2023년까지 마무리한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은 30명, 국립현대미술관은 17명을 이건희 컬렉션 등록·연구에 투입하고 있다.
2021-07-0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